코레일은 순환전보와 관련해 철도노조가 노사 현안논의 결과를 일방적으로 파기함에 따라 지역본부별 인사위원회를 4일 개최한다. ‘순환전보 및 정기인사교류’ 내용은 오는 7일 통지할 방침이다.

전보, 승진 등은 사용자의 인사권으로 노사합의 사항이 아니지만 ‘순환전보’ 시행에 앞서 철도노조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눴다는 게 코레일의 설명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9번의 실무자 간담회와 3차례의 본 간담회(노사 대표 참석)를 개최해 순환전보의 취지와 인력불균형 해소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철도노조의 이해를 요구했다”며 “노사 양측은 ‘순환전보 및 정기인사교류’의 기본 취지 및 필요성에 대해 상호 공감하고 구체적 시행방안에 대해 지난 1일 노사가 서명까지 하는 내부 절차를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철도노조는 3일 오전까지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통해 파업계획을 철회할 것을 약속했다”며 “하지만 노조는 노사 간 약속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국민 불편을 담보로 한 불법파업을 예고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코레일은 철도노조에 진정성 있는 대화 의지가 없다고 판단, ‘순환전보 및 정기인사교류’를 즉각 시행해 인력 불균형으로 인한 방만 경영 요소를 일소할 방침이다.


12개 지역본부별로 객관적 기준에 따라 투명하게 선정된 전보대상자 인사위원회를 4일 개최하고 순환전보 및 정기 인사교류를 오는 7일 통지할 예정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철도노조가 순환전보를 거부할 경우 이는 절차와 목적상 명백한 불법파업”이라며 “지난해 12월 최장기 파업을 비롯해 올해 파업 등에 참가한 행위를 모두 병합해 가담자 전원에게 엄정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