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뉴스1 유승관 기자
어쩔 수 없이 휴업을 선택하는 주유소가 늘고 있다. 가게 문을 닫을 여력이 없어서다.22일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현재 전국 425개 주유소가 휴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6년간 휴업 주유소 수는 2009년 290개에서 2011년 425개로 급증했다. 지난해 393개로 줄었지만 올해 다시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었다.
일반적으로 휴업은 폐업 자금이 없는 주유소가 선택하는 임시방편이다. 경영난에 시달리는 영세 사업자들이 1억5000만원 상당의 폐업 비용을 마련하지 못해 사실상 사업장을 방치하는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의 휴업 주유소가 57개로 가장 많았다. 특히 지방의 휴업 현황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 주유소는 경기도가 2502개에 달해 휴업 주유소 비중이 2.3%에 그쳤다. 휴업한 곳인 두 번째로 많은 경남(53개)은 영업 주유소가 1237개로 경기도의 절반 수준으로 휴업 주유소의 비중이 4.3%에 이른다.
이외에 전남(52개), 경북(51개), 전북(50개), 강원(47개), 충남(36개), 충북(33개) 등으로 주로 지방에서 휴업 사례가 속출했다.
협회 관계자는 “수도권은 그동안 치열한 경쟁으로 주유소 수가 상당히 줄었다”며 “하지만 지방은 구조조정이 이제 본격화되는 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경기·인천의 주유소 수는 2009년 3623개에서 2014년 3472개로 4.2%가 정리됐다. 반면 나머지 지역은 9239개에서 9103개로 1.5%만 감소했다.
부산(9개), 대구(7개), 서울·광주(각 6개), 제주(4개), 대전(2개), 울산(2개) 등은 휴업 중인 주유소가 한자릿수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