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삼성테크윈과 삼성종합화학 지분을 한화그룹에 매각하기로 하면서 한화간 이번 빅딜의 성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은 26일 삼성테크윈 지분 32.4%를 8400억원에 ㈜한화로, 삼성종합화학 지분 57.6%(자사주 제외, 이하 동일 기준)를 1조 600억원에 한화케미칼과 한화에너지로 매각하기로 결의했다. 매각 금액은 총 1조9000원 규모.

이로써 한화그룹은 상장사인 삼성테크윈의 최대주주가 되면서 경영권을 갖게 됐다. 또 삼성테크윈이 삼성탈레스 지분 50%도 갖고 있어, 자연스레 삼성탈레스의 공동경영권도 확보 가능하다.


이 같은 '삼성의 결단'에 재계가 주목하는 것은 1997년말 IMF 외환위기 이후 17년 만에 그룹간 빅딜이 일어났다는 점이다. 특히 그동안 정부차원에서 대기업 그룹간 구조조정을 요구해 빅딜이 이뤄진 적은 있었지만, 이번처럼 대기업간 자발적으로 큰 거래가 진행된 것은 전무했던 사례다. 

또 하나 삼성의 이번 계열사 매각 추진은 지난해부터 이어져온 삼성그룹의 사업재편 움직임과 다른 차원의 행보라는 점에서도 관심을 끈다.

최근 2년간에 걸쳐 삼성그룹은 중복된 사업부문을 조정하고 계열사 간 사업부문을 영업양도하면서 '통합'과 '재결합' 수준에서 사업을 재편해왔다. 하지만 이번 한화간 빅딜과정에서 삼성은 시장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사업 부문을 과감히 매각하는 액션을 보였다. 


사실 삼성그룹은 석유 화학 부문에서 글로벌 경기 영향에 힘입어 적지않은 실적 부진을 겪어 왔다. 방위산업체 역시인 삼성테크윈의 경우도 지난 3분기까지 매출 1조9300억원에 당기순손실 145억원을 기록했을 정도.


따라서 이번 빅딜은 삼성이 경쟁력과 시너지 효과가 떨어지는 계열사를 과감히 매각, 전자와 금융·서비스, 건설·중공업 등 3대 부분으로 사업을 재편하는 작업에 한층 더 속도를 내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물론 한화그룹으로서도 이번 삼성 화학계열사 인수로 화학 부문 규모를 크게 키울 수 있는데다 함께 인수하는 삼성테크윈을 통해 방위산업체 분야에도 한층 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