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들의 수익률이 100년 만에 보험사에 밀릴 전망이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지난해 보험사 수익률이 100여년 만에 은행권을 넘어설 전망이다.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시중은행과 경남·광주·대구은행 등 지방은행, 농협·산업·기업은행 등 특수은행을 합친 국내 18개 은행의 순이익은 6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삼성·한화·교보생명 등 25개 생명보험사와 삼성·동부화재 등 31개 손해보험사를 합친 56개 보험사는 지난해 1~3분기에 5조1000억원의 순익을 올렸다. 4분기에 분기별 최하 실적인 1조5000억원의 순익을 달성하면 지난해 6조6000억원으로 은행 순이익을 뛰어넘는다.
국내 금융권 역사에서 이변이 일어나는 것은 지난 1897년 한성은행(옛 조흥은행), 1922년 조선화재(옛 메리츠화재)가 각각 국내 최초의 은행과 보험사로 설립된 후 처음이다.
이와 같이 금융권에서 은행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현실에서 ‘상전벽해’와 같은 일을 앞두고 있는 것은 은행들이 수익의 90% 이상을 이자수익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 2005년 2.81%였던 순이자마진은 지난해 1.79%로 떨어졌다.
또한 대기업 여신에만 집중한 나머지 STX그룹, 쌍용건설, 동양그룹, 동부그룹 등 부실이 잇따르면서 손실을 피하지 못했다.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돈도 크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경우 은행의 이자마진은 더 줄어든다.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로 가계대출이 급증했던 지난해와 달리 대출 성장도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가 장기 고정금리대출로 전환을 위해 2%대 대출상품을 내놓으면 기존 고객을 지키기 위한 은행들의 대출금리 인하 경쟁도 불가피하다.
이처럼 은행들의 수익성은 올해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따라서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들이 손쉬운 이자 장사에만 집중하지 말고 다각적인 자산 운용을 통해 자산이익률을 높이고 해외진출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