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 DB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입원했거나 치료받은 병원의 실명 공개를 두고 병원에서도 엇갈린 입장을 내놓고 있다.
실명공개를 꺼리는 병원이 있는가 하면 일부 병원은 환자와 고객들의 문의가 빗발쳐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며 차라리 공개하는게 좋다는 반응이다.
3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메르스 격리 대상자는 이날 기준 1312명이다. 전날까지 791명이던 격리대상자가 하루만에 573명이나 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 근원지는 병원이다. 첫 감염자가 병원에서 입원한 환자였고 이 환자를 간호한 부인에게 두번째 메르스 바이러스가 옮겨졌다. 이후 감염자와 같은 병실에 입원한 환자와 그 지인들에게 빠르게 확산돼 현재에 이르게 됐다.
감염자가 병원에서 시작됐다는 소식에 국민들의 공포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자칫 치료를 위해 병원에 들렀다가 메르스라는 더 큰 병이 생길 수 있어서다. 이 때문에 병원 실명이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정부는 병원 실명 공개가 어렵다는 입장이고 정치권을 비롯해 포털과 SNS 등 온라인에선 정부를 더이상 신뢰하기 어렵다며 실명 공개를 요구하고 나섰다.
그렇다면 논란의 중심에 선 병원 측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서울에 위치한 A대학병원 관계자는 "메르스 공포가 확산되면서 전반적으로 병원이 위축되는 분위기"라며 "당장은 병원 이름을 공개하지 않는게 더 나을 것 같다"고 전했다. 또 다른 B대학병원 관계자는 "별도의 입장은 없다"면서 "공개를 하든, 비공개를 유지하든 정부의 방침에 따르겠다"고 설명했다.
반면 C대학병원 관계자는 "오히려 국민들이 궁금해 하는 내용을 공개하는 것이 메르스 공포를 축소하는 방향"이라며 "환자들이 병원 내부에 메르스 환자 진료를 했느냐, 입원 환자가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도 무척 당혹스럽다. 요즘엔 전화문의가 빗발쳐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고 한탄했다.
한편 정부가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거나 입원한 의료기관의 실명은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며 공개 불가 방침을 내렸다. 현재까지도 병원 이름은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