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은 지난해 기업의 사회·환경·경제적인 활동과 성과를 담은 '201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전 세계 건설사 최초로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을 기반으로 정립한 지속가능 경영 모형을 담았다.

공유가치창출이란 하버드대학의 마이클 포터 교수가 창안한 개념으로 기업의 경제적 가치와 공동체의 사회적 가치를 조화시키는 경영전략이다.


재무 자산, 생산·환경 자산, 지적 자산, 인적 자산, 사회관계 자산의 5대 기업 자산 영역 모형도 공개했다. 이를 통해 전략·환경·기술·인재·상생경영의 5대 지속가능 경영 영역을 수립, 영역별 경영전략을 수립했다.

전략 부문에서는 기업의 장기비전, 신성장사업과 해외사업 다각화에 대해 다뤘으며 환경 부문에서는 온실가스, 기후변화 등 환경경영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담았다.

기술 부문에서는 현대건설의 차별적 기술 역량, 인재 부문에서는 혁신인재 육성과 일과 삶의 균형, 상생 부문에서는 사회적 동반성장 달성 등, 현대건설의 지속가능 경영 활동을 총체적으로 포함했다.


현대건설은 이러한 노력으로 국내 건설사 최초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글로벌 표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에서 인증하는 보고서 최고등급 'GRI G4 Comprehensive'를 획득해 우수성과 신뢰성을 인정받았다.

그동안 지속가능 경영 활동과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건설업계 최초로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평가(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월드지수에 5년 연속 편입됐으며 2011년과 2013년에 이어 2014년, 전 세계 건설업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1위에 선정된 바 있다.

한편 현대건설은 2010년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지속가능 경영에 대한 현대건설의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