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투데이는 지난 11일 설문조사기관 오픈서베이를 통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30세 이상부터 65세 이하의 수요자 1000명에게 '2016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응답자 중 집을 소유한 사람(배우자나 자녀명의 포함)은 64.5%(645명)이었고 35.5%(355명)은 소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구매 계획은 66.2%(662명)이 있다, 33.8%(338명)이 없다고 답했다.
◆내 집 마련, 2018년 이후 기존 아파트로
주택 구매 적정시기(단위:명). 자료제공=리얼투데이
주택 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662명) 중 내 집 마련(실거주)이 53.02%(351명)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갈아타기 28.55%(189명), 투자 9.22%(61명), 임대사업 7.70%(51명) 기타 1.51%(10명)로 나타났다. 주택 구매의 적정시기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1.96%(344명)이 2018년 이후가 적정하다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2017년 하반기 15.11%(100명), 2017년 상반기 14.35%(95명), 2016년 하반기 12.39%(82명), 2016년 상반기 6.19%(41명)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상품별로는 기존 아파트가 51.51%(341명)로 가장 높았고 이어 단독주택 20.67%(137명) 아파트 분양권 11.18%(74명), 빌라(다세대주택) 7.55%(50명), 주거용오피스텔 4.83%(32명) 다가구주택 3.02%(20명), 기타 1.21%(8명) 등이다.
이어 선호하는 주택 구매 방법은 기존 아파트 매입이 37.61%(249명)로 가장 많았고, 청약신청 22.81%(151명), 분양권 매입 12.39%(82명), 경매 12.09%(80명), 재건축·재개발 매입 11.63%(77명), 기타 3.47%(23명)로 나타났다.
◆ 집값 '보합' 전셋값은 '껑충'
집값과 전셋값 전망. 자료제공=리얼투데이
올해 집값 전망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합 40.6%(406명), 하락 32.8%(328명), 상승 26.6%(266명)를 나타내며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조금 떨어질 것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았다.
집값 등락률에 대해서도 보합의 의견이 22.4%(224명)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2~5% 상승14.1%(141명), 2~5% 하락 13.7%(137명), 5~10% 상승 12.1%(121명), 1~2% 하락 10%(100명), 1~2%상승 9.9%(99명), 5~10%하락 9%(9명), 10%이상 하락 4.6%(46명), 10%이상 상승 4.2%(42명) 등이다.
전셋값 전망에 대해서는 대부분 상승을 예상했다. 총 응답자의 무려 77.1%(771명)이 전셋값이 오른다고 전망했고 18.7%(187명)이 보합세를 내다봤다. 전셋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고작 4.2%(42명)에 불과했다.
전셋값 등락률은 5~10% 상승 28.6%(286명), 2~5% 상승 22.9%(229명), 10%이상 상승 18.6%(186명), 보합 13.4%(134명), 1~2% 상승 10.6%(106명), 1~2%하락 2.10%(21명), 5~10% 하락 1.60%(16명), 2~5% 하락 1.50%(15명), 10%이상 하락 0.70%(7명) 순으로 답했다.
◆ "올해 수도권 신도시 투자하겠다"
올해의 유망투자처로는 47.8%(478명)가 수도권 신도시를 꼽았다. 이어 서울 강남권 13.4%(134명), 서울 강북권 10.9%(109명), 혁신도시 8.9%(89명), 인천경제자유구역 7.6%(76명), 세종시 6.6%(66명), 5대 광역시 4.8%(48명) 등으로 집계됐다.
한편 본 조사는 지난 11일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30세 이상 65세 이하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응답 수집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 신뢰 수준은 95%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