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고령화 사회의 가속화가 진행되고 있는 오늘날, 노인인구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퇴행성 척추질환을 호소하는 환자 역시 증가하고 있다.
노년기에는 척추관절의 유연성과 근력이 떨어져 다양한 척추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고령화로 인해 사회 활동을 하는 연령대 또한 늘어남에 따라 노화로 인한 허리통증은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있어서도 더욱 큰 불편함 초래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질환으로는 허리 디스크, 목디스크 등 디스크 질환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중장년층 사이에서는 허리디스크 만큼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 바로 척추관협착증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말 그대로 척추관이 협착되어 좁아져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신경다발이 통과하는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누르게 돼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으로, 대부분 노화로 인해 척추의 퇴행이 진행됨에 따라 척추가 불안정한 척추를 유지하기 위해 척추관 주변의 뼈와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을 점점 압박해나가면서 생기게 된다.

척추관협착증은 처음에는 가벼운 허리통증으로만 여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방치하는 경우 허리통증은 물론이고 엉덩이와 항문, 다리 등 하반신을 따라 통증이 확대될 뿐 아니라 심한 경우 호흡기질환, 심장질환, 배뇨장애 등의 내과질환도 동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해 척추관협착증으로 본원을 찾은 A씨(59세) 역시 허리부터 시작된 통증이 엉덩이와 다리까지 이어지면서 걷기조차 어려울 정도에 이르자 허리디스크를 의심해 병원을 찾았다. 하지만 A씨의 정확한 병명은 디스크가 아닌 척추관협착증으로, 요통과 하반신 통증으로 보행이 어려울 정도로 상태가 심각해 수술을 권유 받았다고 한다.


적지 않은 나이에 수술을 고려하기에는 너무 부담이 커 망설이던 A씨는 수술대신 비수술치료법인 공간척추교정치료을 통해 현재 허리와 다리의 통증이 사라진 상태다.

이처럼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이 심하면 괄약근 장애나 하반신 마비 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수술적 치료를 권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많은 척추질환 환자들이 보존적 치료 단계에서 높은 치유효과를 보이고 있는 만큼 척추관협착증 역시 보존적 치료를 가장 먼저 시도하는 것이 현명하다.

본원에서는 척추관협착증의 원인을 척추 구조의 변형으로 인해 생긴 압력에 있다고 보고, 공간척추교정치료를 통해 척추의 구조를 건강한 상태로 회복시켜 압력을 해소해 초기 척추관협착증은 물론이고 일상생활이 어려운 중증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의 치료를 돕고 있다.

오랜 시간 안 좋은 자세와 압력이 척추에 쌓여 척추관 안쪽의 인대조직들이 두꺼워지면서 협착이 되었지만, 우리 몸은 그런 자세와 압력에서 벗어나게 되면 또 원래 상태로 서서히 돌아오게 되는 것이 바로 그 원리이다.

공간척추교정은 척추전체를 하나로 보고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고관절과 골반의 균형을 먼저 맞추어 변형된 뼈가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 후에 무너진 척추 구조를 바로 잡아 준다. 덕분에 최소한의 힘으로 큰 교정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척추관을 누르는 압력을 해소함으로써 통증이나 저림 증상에 극적인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 척추관협착증으로 요통이 심한 환자가 일주일에 2회씩 총 20회 가량 공간척추교정과 함께 약침과 부항치료를 병행한 결과 첫 내원 시 63%였던 요통기능장애척도가 10%이내로 감소된 바 있다.

요통 외에도 다리 통증과 발등 통증이 완화되거나 소실 되어 만족도 높은 치료 결과를 얻은 바 있는 만큼 척추 구조를 회복하는 것에 목표를 둔 공간척추교정치료라면 수술에 대한 부담이나 입원치료기간에 대한 걱정 없이 척추관협착증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통증의 원인에 따라 치료기간이나 교정치료 횟수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섣불리 자가진단을 내리기 보다는 공간척추교정치료에 일가견 있는 전문의료진을 찾아 정확한 진단 아래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하는 바이다.

<제공=리봄한의원, 정리=강인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