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의 직원 채용시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와 고용부가 함께 약 한 달간 518개 기업 인사담당자 대상으로 ‘기업 채용관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기업은 신입사원 채용시 학력보다 자격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특히, 중소기업일수록 직무에 적합한 자격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기업에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은 자격(54.9%), 학력(34.8%), 인턴경력(28.0%) 순이라고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65.2%), 제조업(63.7%), 숙박·음식업종(69.7%)에서 자격을 중요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기업에서 자격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다만, 1,000인 이상 기업에서는 학력과 자격을 동등한 비율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사지원서에서 불필요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기업은 감소했다.

입사지원서에서 직무능력과 무관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기업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키·몸무게, 혈액형은 10%p 이상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그밖에 본적, 가족관계를 요구하는 기업도 감소했다.


1,000인 이상 기업에서 불필요한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도 많은 기업에서는 직무와 무관한 생년월일, 가족관계 등 인적사항을 요구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직무관련성에 대한 기업의 선호도는 증가했지만 기업규모가 클수록 많은 스펙을 요구했다.

소위 ‘9대 스펙’ 중 성형수술을 제외한 8가지 항목에 대해 입사지원서에서 요구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직무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 중심으로 기업의 요구가 증가했다. 특히, 인턴경력, 공모전은 10%p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단, 기업규모가 클수록 다양한 스펙에 대해 요구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한 인지도 및 활용도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NCS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58.5%로 전년대비 22.2%p 증가했으며, NCS를 활용하고 있거나 활용할 예정인 기업은 26%로 전년대비 21.4%p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48%)·도소매/유통업(45%)·제조업(26%)에서 NCS를 활용할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NCS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NCS 활용분야는 채용(16%), 재직자 훈련(10%), 배치·승진(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NCS 기반 교육훈련·채용 전문가인 어수봉 교수(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기업들이 직무능력을 중시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신입사원 채용 시 학력보다 자격을 중시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채용관행에 있어 큰 변화로 보여진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권기섭 직업능력정책국장은 “내년이면, 모든 공공기관에 NCS 기반 능력중심채용이 도입된다”며 “‘능력중심 채용 실천선언’이 준수될 수 있도록 경제단체(대한상의, 경총)와 함께 대기업 등 인사담당자 대상 직무능력중심 채용을 위한 간담회·교육을 실시하여 공감대를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