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DB

지난해 서울 시내 버려진 빈집이 사상 최대규모에 육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너무 낡아 매매나 임대가 어렵고 재개발사업 역시 장기간 정체되며 도시 슬럼화를 일으키고 있다.
7일 서울시는 지난해 6개월 이상 수도기본요금만 부과된 가구 수를 파악해 추정한 결과 빈집이 1만5000여가구에 달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빈집들을 재개발해 임대주택을 만들고 입주자를 연결하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처럼 빈집이 빠르게 증가한 원인은 집주인의 고령화와 재개발사업 지연 등이다. 주로 도심 외곽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 빈집이 역대 가장 많은 수준인 데다 계속 늘고 있어 민간에만 개발을 맡겨서는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금까지 빈집을 리모델링해 주거취약층에 빌려주는 임대주택사업을 실시해 21곳에 151명을 입주시켰다. 일본에서도 인구고령화로 빈집 급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가 철거 등 강제집행을 한 바 있다.

서울시는 우선 정비구역 해제지역과 은평구, 성북구 등 낙후지역의 빈집을 대상으로 개발업자, 집주인, 임차인을 연결해주는 통합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내년에는 '빈집정보센터' 홈페이지를 구축해 집주인이 주택을 등록하고 시행자가 열람해 리모델링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임대주택 입주 희망자도 원하는 지역과 주택을 열람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