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구 전(前) 시 정책자문관의 비리의혹과 관련해 광주시의회에서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이 의원들로부터 집중난타를 당했다.
반재신 광주시의원은 11일 열린 광주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김 전 자문관 수사 등에 대해 "윤장현 시장의 고집스런 불통이 낳은 참사"라고 지적했다.
반 의원은 "광주시 사상 초유의 14개부서가 압수수색을, 공직자들은 줄소환을 당하며 시정이 마비지경에 이르렀다"고 비판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정무라인'의 잦은 교체에 대해서도 "'윤장현호'의 정무적 인사와 시정운영은 시정의 새로운 인적수혈과 성장동력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시정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시민들은 과도한 선민의식이 실추된 시정을 회복시킬 동력으로 보지 않을 것"이라며 "'시민시장'으로서 겸허한 리더쉽, 시정현안과 인사에 대한 비판과 의견을 존중하고 동의하는 리더쉽을 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정현 의원도 "인사를 둘러싼 구설수, 외척비리로 인한 검찰의 두 차례 압수수색 등으로 시민시장에 대한 실망감이 더 크게 느껴지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정무라인, 시 핵심간부, 시 산하기관장 등에 대해서도 인사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진정성 있는 시정혁신을 위해서는 전방위적인 인적쇄신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윤장현 시장은 "시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 드린데 대해 거듭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윤 시장은 "이번 일을 조기에 수습해 시정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계의 의견을 폭 넓게 수렴, 인적쇄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 간부는 물론 노조 등 공직 내부와 대화를 확대하고 시의회와도 소통의 채널을 열어넣고 허심탄회하게 논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전 자문관은 2015년 12월부터 지난 2월까지 두 차례에 걸쳐 S건설로부터 1억9800여만원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