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새어나오는 것을 말하는데, 중년 여성 4명 중 1명이 앓을 정도의 흔한 질환이다. 출산, 폐경, 노화, 비만 등이 주원인으로 대개 50~60대 여성에게 나타나지만 최근엔 젊은 여성층에서도 발병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기/사진=이미지투데이
요실금은 3가지 종류로 분류 되어진다.첫째, 전체 요실금의 40~5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요실금인 복압성 요실금이 있다. 복압성 요실금은 기침이나 줄넘기, 재채기 등으로 인해 복부압력이 증가되면서 방광이 압박 받을 때 방광내부의 압력이 요도의 압력보다 높아지면서 소변이 새 나오는 증상을 보인다.
복압성 요실금은 긴장성 요실금이라고도 칭해지며, 임신 중이거나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들에게 자주 나타나며, 갱년기 이후 여성 호르몬이 감소해 골반 근육 및 요도 괄약근이 느슨해져 발생하기도 한다.
두번째, 절박성 요실금이 있는데, 이는 방광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특정 물질에 대해 예민성을 나타내거나(물이 흐르는 소리만 들어도 화장실에 가고 싶다든지), 소변을 참을 수 없어 화장실에 가는 도중 실례를 한다거나, 방금 소변을 봤는데 또 금세 마려운 증상을 보인다
셋째, 일류성 요실금은 방광을 지배하는 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방광의 기능이 약화되어 방광의 저장용량을 넘겼을 때 발생된다.
넷째, 복합성(혼합성)요실금은 위의 세가지 유형이 섞여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고령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요실금 치료방법으로는 운동(케겔운동)요법, 약물요법, 수술요법이 있다. 약물이나 운동요법의 경우 초기 요실금 증상에 효과적이며, 중증 이상이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산부인과 전문의 조영열 원장은 “ 요실금을 단순히 창피한 질환쯤으로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방치할 경우 위생상의 문제 뿐만 아니라 심리적 위축 및 스트레스, 대인관계 기피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치료가 꼭 필요하다”며, “요실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카페인, 알코올 등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케겔운동을 비롯한 적절한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