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각규 롯데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사진=뉴스1DB
롯데그룹의 2인자 역할을 할 경영혁신실 실장에 황각규 사장(정책본부 운영실장)이 사실상 낙점된 것으로 알려졌다.황 사장은 신동빈 롯데 회장의 심복이자 고 이인원 부회장과 함께 정책본부를 이끌어 온 인물이다. 1979년 호남석화에 입사해 1990년 신 회장이 호남석유화학 상무로 부임하던 당시 부장으로 첫 인연을 맺었다. 이후 롯데의 굵직한 인수·합병(M&A)과 지배구조 개편을 주도했다. 2004년 우리홈쇼핑(현 롯데홈쇼핑), 2007년 대한화재(현 롯데손해보험), 2008년 케이아이뱅크(현 롯데정보통신) 인수를 이끌었고, 2009년 두산주류(현 롯데주류), 2010년 바이더웨이(현 코리아세븐), 2012년 하이마트 인수 등을 주도했다.
황 사장과 함께 그룹의 투톱으로 불렸던 소진세 사장(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은 그룹 준법감시위원회나 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 사장은 1977년 롯데쇼핑에 입사 롯데백화점 마케팅부문장, 세븐일레븐 대표, 롯데슈퍼 대표 등을 역임했다. 2014년 부터는 정책본부 대외협력실장을 맡아 경영권 분쟁, 검찰 수사 등 외풍을 이겨내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당초 재계에서는 소 사장이 새로 구축될 유통 BU(비즈니스유닛)장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지만 이 자리에는 이원준 롯데쇼핑 대표이사가 낙점될 것으로 보인다. 롯데쇼핑 신임 대표이사에는 이동우 롯데하이마트 대표이사(부사장)의 승진 가능성이 거론된다.
유통과 함께 롯데그룹의 축인 화학BU장에는 허수영 롯데케미칼 사장이 유력 후보로 떠올랐다.
한편 롯데그룹은 21일 화학과 식품부문 계열사들을 시작으로 22일에는 롯데쇼핑 등 유통계열사, 23일 이후 호텔 서비스 등 기타 부문 인사를 발표할 예정이다. 롯데그룹은 93개 계열사를 ▲유통 ▲화학 ▲식품·제조 ▲호텔·서비스 등 4개 BU 체제로 개편하고 정책본부를 축소해 경영혁신실로 전환하는 등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