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19 부동산대책과 공급과잉이 겹치며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셋값도 안정세를 보일 전망이다. 다만 공급과잉이 심한 지역이라면 전셋값이 폭락하거나 새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역전세난'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진=반도건설

◆전셋값 안정화로 세입자 이득… 역전세난 위험도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7~9월 새 아파트 입주물량은 전국적으로 10만7217가구에 달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7.8% 급증한 수치다. 이번 입주대란은 2~3년 전부터 예고됐다. 2013~2015년 주택시장 호황으로 아파트 공급물량이 급증했고 이때 분양된 아파트가 올 하반기 본격적으로 입주를 시작하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공급과잉 지역일수록 집값과 전셋값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본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의 '2017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은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지방은 하락하면서 전체적으로 0.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전세가격은 보합, 월세는 하락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지방 전세시장은 이미 하락세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지방에서는 집값이 하락하는 지역이 늘고 있다"며 "지역별 맞춤형정책을 마련하고 입주물량이 급증하는 곳은 연착륙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현수 부동산114 연구원은 "특히 미분양 아파트가 쌓인 곳은 전셋값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입자 입장에서 볼 때 전셋값이 안정되면 좋은 점이 많다.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일주일 만에 0.12% 올라 2015년 12월21일(0.14%) 이후 1년5개월 만에 최고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정부의 청약·대출 규제강화와 금리인상 등이 겹쳐 매매수요가 줄어들면서 역전세난의 가능성도 커졌다. 만약 집주인에게 부채가 많을 경우 세입자가 제때 전세금을 돌려받기가 어려워지며 소송으로 번질 위험도 높다. 부동산시장 관계자는 "역전세난이 발생하면 세입자뿐 아니라 건설사도 잔금을 못 받아 자금난의 위험이 있다"며 "분양자에게 전월세를 알선해주는 대책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