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로 7017. /사진=김창성 기자
서울역·세운상가 등 도시재생사업이 9만여명에 달하는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는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조사‧분석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 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도시재생사업이 주변 민간개발, 상권 활성화 등으로 이어지며 양질의 일자리 창출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총 13개소) 중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서울역 일대 ▲세운상가 ▲창신‧숭인 등 3개소를 분석한 결과 총 8만8693명의 신규 일자리 유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역 일대와 세운상가는 핵심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 ‘서울로 7017’과 ‘다시세운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이 각각 작년 5월과 9월 마무리됐다. 창신‧숭인의 경우 수도권 지역 중 유일하게 정부의 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선정된 곳으로 지난해 말 대부분의 마중물 사업이 완료됐으며 일부 앵커시설은 올 초 준공 예정이다.


특히 서울시는 이번 연구가 직접 시 예산을 투입해 공공사업(계획‧건설‧운영‧관리 등)으로 발생하는 ‘직접고용효과’뿐 아니라 파생적으로 발생하는 민간주도개발과 인근 지역 상권 활성화 파급효과도 포함한 ‘간접고용효과’까지 종합 분석한 결과라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김갑성 교수는 “단순비교는 어렵지만 토목건축 위주의 주택재개발‧재건축 사업에 10억원을 투자했을 때 고용창출효과가 8.7명(2016년 한국은행 고용유발계수 기준)이라는 분석결과에 비춰보면 도시재생 고용유발효과는 21명 이상으로 2.5배 이상 더 높다”며 “도시재생은 건설단계에서 발생하는 일시적인 일자리는 물론 건설 후 운영‧관리 단계에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직접고용효과를 보면 건설단계의 ‘일시적’ 일자리(2387명)보다 건설 이후 운영단계에서 생기는 ‘지속적인’ 일자리(2745명)가 1.1배(358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도시재생이 지속가능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정부가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을 ‘도시재생 뉴딜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채택해 전국 정책으로 확대하는 가운데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실질적인 일자리 유발효과를 조사‧분석한 사례는 이번이 국내 최초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