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택 매매가 전망. /자료=한국감정원
공인중개사들이 올해 매매·전세·월세가 모두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1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6000여 우수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주택시장 전망’한 설문조사 결과 매매·전세·월세 모두 보합할 것이란 응답이 매매 67.5%, 전세75.6%, 월세 70.9%의 응답률로 나타났다.
보합 응답자를 제외할 경우 매매·월세는 수도권·지방은 하락 응답률이 높았으며 전세는 수도권은 하락(20.4%), 지방은 상승(12.7%)이 높게 나타나며 차이를 보였다.
매매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 의견(전국 67.5%, 수도권 66.3%, 지방 68.8%)이 우세했다. 보합을 제외하면 소폭 하락 의견(11.2%)이 많았고 지난해 조사결과와 비교 시 상승 응답률(18.6%→11.6%)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락 전망 응답자는 주요 이유를 대출 및 주택금융 규제(43.1%)로 응답했고 상승 전망 응답자는 주요 이유를 경쟁력 있는 지역에 대한 선호현상(48.3%)으로 답했다.
전세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전국 75.6%, 수도권 74.6%, 지방 76.7%)을 응답한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보합 응답자를 제외하면 소폭 하락(7.7%) 의견이 많았고 수도권은 상승보다 하락 응답, 지방은 하락보다 상승 응답이 높았다.
하락 전망 응답자는 주요이유를 전세공급물량 증가(67.6%), 상승 전망 응답자는 매매가 하락 우려 및 관망세로 인한 전세수요 증가(45.0%)로 응답했다.
서울지역 매매가 전망은 보합 의견(56.7%)이 우세한 가운데 전셋값 전망도 보합 의견(76.4%)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월세시장에 대한 가격 전망은 보합(전국 70.9%, 수도권 66.8%, 지방 75.0%)이 우세한 가운데 보합을 제외하면 소폭 하락(14.4%) 의견이 많았다.
하락 전망 응답자는 주요 이유를 신규입주물량 및 대체주택의 월세공급(51.3%), 상승 전망 응답자는 주요 이유를 전셋값 상승 등으로 인한 준전세 중심의 임차인 월세전환 증가(35.6%)로 지목했다.
한편 지난해 12월29일부터 13일간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한국감정원 협력공인중개사 약 60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부동산시장동향 모니터링 시스템(RMS)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로 실시됐으며 응답자는 총 2232명(수도권 1112명, 지방 1120명)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