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휘센 씽큐 에어컨 제품. / 사진=LG전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탑재한 ‘휘센 씽큐 에어컨’ 신제품을 앞세워 에어컨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가정용 에어컨 시장을 선도한다고 밝혔다.

LG전자는 18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송대현 H&A사업본부장(사장), 이감규 에어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8년형 LG 휘센 에어컨’ 신제품발표회를 열었다.


이날 LG전자는 자체 AI 플랫폼인 딥씽큐를 탑재한 ‘휘센 씽큐 에어컨’을 비롯해 신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LG전자가 휘센 에어컨에 AI 브랜드인 ‘씽큐’를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지난해 처음으로 에어컨에 AI을 탑재하며 AI 에어컨 시대를 열었고 올해 출시하는 모든 스탠드형 모델에는 보다 강력해진 ‘AI 스마트케어’를 적용했다.

기존 휘센 에어컨의 AI은 사람이 주로 머무르는 공간을 학습하던 것에 비해 신제품은 온·습도, 공기질, 생활환경 등은 물론 고객이 에어컨을 사용하는 패턴, 사용자의 언어까지 학습한다.


LG전자가 신제품에 탑재한 AI 플랫폼 딥씽큐는 독자 개발한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기술 등을 탑재해 에어컨이 고객의 말을 알아듣는다.

딥씽큐는 딥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언어 사용 패턴도 스스로 학습한다. 결과적으로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면 할수록 인식률은 더욱 높아진다.

사용자는 에어컨으로부터 3m 이내인 곳에서 음성만으로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정해진 명령어뿐 아니라 “더워”, “추워”와 같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반응도 인식해서 작동 여부를 먼저 제안한다.

사투리도 알아들으며 에어컨이 스스로 고객의 언어 사용패턴을 학습하기 때문에 사투리도 쓰면 쓸수록 인식률이 높아진다.

에어컨을 작동하는 것뿐 아니라 실내 온·습도, 공기질, 필터상태, 전력사용량과 바깥 날씨, 미세먼지 수치 등 다양한 정보들까지도 음성만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신제품 라인업 가운데 음성인식을 지원하는 모델은 LG 휘센 듀얼 에어컨 중 럭셔리 제품군(모델명: FQ22L8DRA2, FQ22L8DSA2, FQ22L8DCA2)이다.

신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AI 플랫폼 딥씽큐의 활용 범위를 대폭 키운 ‘AI 스마트케어’다.

AI 스마트케어는 실내기와 실외기에 달린 센서들을 활용해 고객이 주로 머무르는 공간뿐 아니라 실내·외 온도, 습도, 공기질 등을 감지하고 생활환경과 고객의 사용패턴까지 학습해 최적화된 방식으로 냉방한다.

LG전자 자체 실험 결과에 따르면 AI 스마트케어를 탑재한 신제품은 기존 제품에 비해 최대 18.7%의 절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G전자는 고객들이 AI 스피커를 사용해 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성도 확대했다. 신제품은 LG전자의 AI 스피커 ‘씽큐 허브’뿐 아니라 구글, 아마존, 네이버, SKT, KT 등 여러 기업들이 내놓은 AI 스피커와 모두 연동한다.

고객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에어컨이 주변환경에 따라 실시간으로 쾌속, 쾌적 등 어떤 방식으로 실내를 냉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홈챗 기능을 활용하면 카카오톡, 라인 등의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는 고객들에게 최적의 AI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독자 플랫폼인 딥씽큐 외에도 외부의 다양한 AI 기술과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휘센 에어컨에 다양한 AI 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지속 검토할 계획이다.

LG전자는 딥씽큐 알고리즘을 보다 정교하게 구현하기 위해 신제품에 ‘듀얼 인버터 마이크로 제어’ 기술을 적용했다. 딥씽큐가 판단하는 주위 환경에 따라 실내를 보다 빠르게 냉방해주는 ‘쾌속’ 모드와 효율을 높이는 ‘쾌적’ 모드에 최적화된 제어 알고리즘을 각각 적용한 것이다.

차별화된 인버터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AI 알고리즘을 세밀하게 구현함으로써 에어컨의 성능과 효율을 크게 높였다. 신제품은 기존보다 에너지 효율이 30% 높다.

시간이 지나면서 실내온도가 변화하는 범위가 10%가량 줄었는데 에어컨이 실내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그만큼 냉방 세기를 세밀하게 제어하고 있다는 의미다.

신제품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장치인 실린더를 2개로 한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가 탑재돼 일반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한 에어컨보다 에너지 효율이 15%가량 높고 정속형 컴프레서 모델과 비교하면 에너지 사용량이 63%까지 줄어든다.

한 달 전력소비량이 300kWh인 가정에서 휘센 싱큐 에어컨(모델명: FQ17D8DWBN)을 하루 8시간 사용했을 때 늘어나는 한 달 전기료는 1만5160원이다. 하루 전기료가 500원에 불과하다.

LG전자는 지난해 업계 최초로 스탠드형 에어컨의 냉방 면적을 기존보다 최대 13%까지 늘린 데 이어 올해에는 투인)으로 판매되는 벽걸이형 에어컨의 냉방 면적도 기존 6형(18.7㎡)에서 7형(22.8㎡)으로 22% 늘렸다.

또한 공기청정 기능을 탑재한 스탠드형 에어컨 모델수를 지난해 10개에서 올해 15개로 늘렸다.

LG전자는 지난해 기준으로 예년보다 한 달 이상 빠른 3월 중순부터 에어컨 생산라인을 풀가동했다. 사계절 수요가 늘어나며 매년 상반기에 생산이 집중되던 과거에 비해 에어컨을 연중 고르게 생산하고 있다는 의미다.

LG전자가 작년 4분기에 생산한 에어컨은 연간 생산량의 20%에 육박하는 정도다. 지난해 경남 창원에 위치한 에어컨 생산라인의 가동률은 사상 최고 수준인 113%였다.

LG전자는 AI 스마트케어가 에어컨에 단편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면서 AI 에어컨의 대중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 휘센 에어컨 신제품 37종의 가격은 출하가 기준 200만~470만원이다.

송대현 사장은 “휘센 씽큐 에어컨은 고객의 생활환경과 사용패턴을 스스로 학습하기 때문에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면 할수록 고객을 더 잘 이해한다”며 “AI을 접목한 차별화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에어컨 시장의 1등 브랜드 지위를 굳게 다져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