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18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에 위치한 제주 4.3평화공원 위령탑에 유가족과 함께 헌화 참배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제주 4·3 사건 추념식을 찾아 3일 제주를 방문했다.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추념식은 제주4·3평화공원에서 유족 등 1만5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진행됐다.
현직 대통령의 4·3 추념식 참석은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에 처음이다. 노 전 대통령은 2006년 4월3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최초로 4·3위령제에 참석했다.
대통령의 추념식 참석은 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지난해 4월 3일 더불어 민주당 경선 스케줄 때문에 추모식에 참석하지 못했던 문 대통령은 "내년 70주년 추념식에 대통령의 자격으로 오겠다"고 밝혔었다.
문 대통령의 4·3 추념식 참석이 관심을 받으며 과거 4·3 사건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주요 공약이 이행될지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후 지난해 4월18일 제주 4·3 평화기념관에서 유족들과 만나 "정권교체를 하면, 민주정부는 4·3 추념식을 대통령이 참석하는 국가적인 추념행사로 격을 높이겠다"고 말했던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로 선출된 이후 지난해 4월18일 제주 4·3 평화기념관에서 유족들과 만나 "정권교체를 하면, 민주정부는 4·3 추념식을 대통령이 참석하는 국가적인 추념행사로 격을 높이겠다"고 말했던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전 정부는 10년간 추념식에 오지 않았다. 정권교체 이후 들어설 민주정부는 4·3 사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책임지고 결실 맺겠다"고 약속했다.
또 "희생자들의 유족 신고를 상설적으로 받고, 발견된 유해에 대해서도 국가가 유전자 감식을 지원해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가게 하겠다"며 “희생자 유족들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도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현재 제주도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유족들에 대한 생활비 지원도 정부에서 진행하겠다"며 "그 외 필요한 특별법 개정도 해내겠다"고 밝혔다.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제주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돼 발생한 사건이다. 진압과 수습과정에서 무고한 주민들이 다수 희생됐으며, 당시 사망자만 1만4000여명에 달해 한국 근현대사에서 6.25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컸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제주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돼 발생한 사건이다. 진압과 수습과정에서 무고한 주민들이 다수 희생됐으며, 당시 사망자만 1만4000여명에 달해 한국 근현대사에서 6.25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컸던 비극적인 사건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