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기 올릭스 대표(왼쪽 다섯번째)와 최성구 일동제약 중앙연구소장(왼쪽 여섯번째)을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17일 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일동제약
일동제약이 RNA간섭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신약개발기업 올릭스와 황반변성에 대한 신개념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RNA간섭은 세포 내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mRNA(messenger RNA)를 선택적으로 절단함으로써 특정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활용해 신체현상을 조절하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게 올릭스 측의 설명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올릭스가 보유한 원천 기술인 ‘자가전달 비대칭 소간섭RNA’ 기술을 활용해 안구 내 비정상적 신생혈관 형성인자를 억제하는 기전의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노인성 황반변성의 주요 발병기전으로 지목되고 있는 망막 황반부 내의 다양한 원인의 비정상적 혈관 신생 차단을 통해 기존의 혈관내피세포생성인자(이하 VEGF) 억제제에 치료 반응이 없거나 내성을 보이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약물을 구상 중이다.

올릭스 관계자는 “기존에 개발된 치료제의 경우 주로 VEGF를 억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해당 인자와 관련한 내성이나 VEGF 외의 신생혈관 형성인자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며 “우리의 경우 비정상적인 혈관 신생을 유도하는 여러 인자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어 차별화에 따른 경쟁력이 높다”고 설명했다.

양사는 2021년 임상시험 진입을 목표로 연구개발에 돌입할 예정이며 투자 및 기술 제휴, 상용화 추진 및 수익 실현 등에 대해서도 공동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계기로 일동제약은 자체 개발 중인 망막질환 치료용 루센티스 바이오베터 ‘IDB0062’ 등과 함께 안과 질환 영역에 대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