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성생활 만족도는 40.7점으로 조사 대상 18개국 중 17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자료제공=텐가
한국인의 성생활 만족도는 세계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섹슈얼 헬스케어 ‘텐가’(TENGA)가 시장조사기업 펜션벌랜드(PSB)에 의뢰해 진행한 ‘2018 글로벌 자위행위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성생활 만족도 지표’(The Good Sex Index)에서 한국은 종합점수 40.7점으로 조사대상 18개국 중 17위에 그쳤다.
이 점수는 조사국 평균 62.3점에 크게 미치지 못한 것이며 일본은 이보다 낮은 37.9점으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한국을 비롯해 일본, 중국, 미국 등 18개국 성인(18~74세) 남녀 1만3000명(한국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한국인은 성생활 만족도에서 ‘성관계 빈도’ 만족도가 37%로 조사국 중 가장 낮았다. 또 ‘자위 빈도’(37%), ‘나의 성적욕구에 대한 파트너의 관심’(42%), ‘본인의 성적 능력’(42%) 만족도 역시 최하위 수준이었다.
반면 ‘파트너와의 감정적 연결’(50%), ‘성 관계할 때의 만족도’(49%), ‘전반적인 오르가즘 만족도’(48%)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한국인이 성생활을 통해 육체적 만족만큼이나 정신적인 교감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파트너와의 감정적 연결’은 중국과 대만에서도 가장 높게 응답돼 동양권에서 감정적 연결이 성생활의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밖에 한국인의 54%는 관계유지를 위해 파트너와 성관계를 맺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연령대별로는 18~34세 43%, 35~54세 55%, 55세 이상 68%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관계유지 차원을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인은 성병 예방과 피임에 대한 적극성이 세계 평균 대비 다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인은 ‘성병 예방을 위해 노력한다’(81%), ‘계획에 없는 임신을 막기 위해 피임을 할 것이다’(76%)는 응답은 평균치보다 각각 8%, 6% 낮았다.
또 ‘성적으로 파트너를 만족시키는데 자신 있다’, ‘성경험의 질에 만족한다’, ‘다양한 성경험에 만족한다’ 등의 성적 태도 역시 평균치보다 20% 이상 뒤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