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가 보증 지원해주는 주택금융공사의 전세대출의 금리가 은행 마다 천차만별인 것을 나타났다. 전세자금 대출 이용자들은 대출 신청 전에 은행별 금리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1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평균 금리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14개 은행의 평균금리는 3.04%로 나타났다.
금리가 가장 높은 곳은 전북은행으로 4.41%에 달했다. 가장 낮은 곳은 KB국민은행 2.95%로 두 은행의 격차는 1.5%포인트에 달했다.
2016년부터 올해 8월까지 주금공의 보증 전세대출 금리는 전북은행 4.06%로 가장 높았고 KEB하나은행이 2.94%로 가장 낮았다. 두 은행의 금리 격차는 1.1%포인트다.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평균금리. 단위 %/자료=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평균 금리는 2016년 2.87%에서 지난해 3.03%, 올해 8월 기준 3.04%로 상승했다.이처럼 주금공이 보증해주는 전세자금 대출이 은행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금융기관별로 업무원가나 법정비용 등을 고려해 대출금리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이다. 은행별 대출금리 차이를 알지 못하고 평소 이용하는 은행에서 전세자금을 대출 받을 경우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김병욱 의원은 “은행별로 전세대출 금리가 차이가 나는 만큼 대출 이용자들은 대출 신청 전에 꼭 은행별 금리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주금공도 지나치게 높은 금리를 받는 은행에 대해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