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후 서울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서비스연맹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 공공운수연맹 전국택배노동조합 주최로 열린 택배노동자 총파업 대회에서 택배 기사들이 삭발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CJ 대한통운의 택배노동자들이 이틀째 총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당분간 CJ대한통운에서 배송되는 택배는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은 21일부터 택배 노동자 사망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과 노동조합 인정을 요구하는 총파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김태완 택배연대노조 위원장은 “본사(CJ대한통운)의 반노동자적 행태로 택배 노동자들이 위험에 내몰리고 있지만 본사는 이를 개선할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이제는 노동자를 쥐어짜며 죽음에 내몰리게 하는 일이 없도록 총파업에 나선다”고 말했다.
파업에는 CJ대한통운 택배기사 700여 명이 모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총파업 계기는 최근 잇따라 발생한 택배기사 사망사고다. 지난달 29일 CJ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에서 하차 작업을 하던 택배 노동자 유모씨(34)가 후진하던 트레일러에 치여 숨졌다. 지난 8월에도 아르바이트 노동자가 감전사고로 숨졌다. 택배노조 측은 반복되는 택배 노동자들의 사망사고가 열악한 노동환경에 있다고 지적했다.
택배노조는 지난해 11월 고용노동부로부터 노동조합 설립 필증을 받은 뒤 CJ대한통운이 단체 교섭에 응하지 않아 행정소송을 건 상태다.
한편 CJ대한통운 측은 "혼란을 막기 위해 자체적으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노조와의 단체 교섭에는 "본사가 택배기사들을 직접 채용한 것이 아니라 대리점이 고용한 것이기에 교섭할 권한이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CJ대한통운 측은 "혼란을 막기 위해 자체적으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노조와의 단체 교섭에는 "본사가 택배기사들을 직접 채용한 것이 아니라 대리점이 고용한 것이기에 교섭할 권한이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