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열린 ‘카카오 카풀 반대 제3차 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에서 택시노조 각 지부 깃발이 입장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카카오와 택시업계의 충돌이 갈수록 거세지는 양상이다. 택시업계가 3차 집회를 여는 날 카카오모빌리티가 기간한정으로 카풀 무료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카카오의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의 카풀서비스 도입에 반대하는 택시업계가 20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에서 ‘3차 카풀서비스 반대’ 집회를 열었다. 주최 측에 따르면 집회인원은 약 10만명에 달했다.
이날 택시업계는 집회 종료시점을 알리지 않아 퇴근길 교통혼잡이 우려된다. 서울시는 퇴근시간 지하철과 버스를 더 투입해 혼란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카카오T 카풀 서비스를 시범운영 중인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을 기점으로 카풀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 몰이에 나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부터 오는 31일까지 카카오T앱에서 카풀 탭을 클릭하는 사람에 한해 3만원 이용 쿠폰을 지급한다. 서울 광화문에서 수원역까지 무료로 카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카카오 카풀에 반대하는 대전 택시업계가 20일 오전 서울에서 열리는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올라가는 과정에서 대전 IC 인근 차로를 막고 있어 극심한 교통정체가 일어나고 있다. /사진=뉴시스
카카오의 이번 전략은 여론을 우호적으로 이끌어 카풀 관련 논의에서 주도권을 가지겠다는 속내로 풀이된다. 특히 카카오가 사전예고 없이 이번 이벤트를 준비했다는 점에서 카카오가 절대 카풀서비스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택시업계와 카카오가 물러섬 없는 신경전을 벌이는데 시민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경기 수원에 사는 38살 김모씨는 “카풀서비스 도입 반대하는 충분한 근거가 없다”며 “카풀서비스 도입이 택시업계를 고사시킬 것이라는 주장은 기우”라고 말했다.
경기 안양·의왕·군포·과천에서 택시를 운영하는 심모씨는 “카풀 도입을 무작정 밀어붙이는 카카오도 잘못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택시업계와 정부에 있다”며 “택시업계는 스스로 변하는 모습과 카풀에 없는 서비스를 도입해 시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면서 “정부는 카풀서비스 도입에 확실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 시간을 끌수록 피해를 보는 것은 일반 시민들”이라고 꼬집었다.
카카오 카풀 실행화면. 서울 광화문역에서 수원역까지 공짜다. /사진=박흥순 기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