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올해 5G(5세대 이동통신)시대가 개막하고 폴더블폰(접이식 스마트폰)이 출시될 전망이지만 스마트폰시장의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에 이은 2년 연속 역성장하는 셈이다.
15일 중화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전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은 14억1000만대로 지난해 14억4000만대보다 3000만대(3.3%)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추가로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으로 최대 5%까지 스마트폰시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예상도 함께 내놨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순위는 삼성전자(20%), 화웨이(16%), 애플(13%) 순으로 지난해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샤오미(9%), 오포(8%), 비보(7%)도 같은 순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업체별 시장점유율은 다소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올해 각각 8%와 15% 점유율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화웨이는 지난해보다 약 3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동유럽, 남미 등 중저가 기종이 인기를 보이는 시장에서 화웨이가 큰 인기를 끌 것이라는 예상도 함께 했다.
트랜드포스는 “중국 브랜드가 점유율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삼성전자는 새로운 비즈니스분야를 개척하지 못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올해 사양·가격면에서 좀 더 공격적인 전략을 취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