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후 8시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친선 경기서 'A매치 무득점' 기록을 깨지는 못했지만, 좋은 활약을 펼쳤던 대한민국의 공격수 손흥민(왼쪽). /사진=뉴스1
지난 아시안컵서 아쉬운 결과를 거뒀던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새로운 포메이션으로 훌륭한 경기력을 펼쳤다. 한 끗 차이였던 결정력을 제외하고는 남미의 볼리비아를 상대로 시종일관 압도하면서 2019년 홈에서 열린 첫 A매치를 승리로 장식했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22일 오후 8시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친선 경기서 1-0 승리를 거뒀다.
이날 기존과 달리 4-4-2 변형 다이아몬드 포메이션을 들고나온 벤투 감독은 훈련 과정에서 예고된 대로 손흥민을 투톱으로 내세웠다. 보수적인 벤투 감독이 '안정'을 깨고 '변화'를 택한 모습이었다.
공격 상황에서 센터백 두 명 사이에 주세종이 내려와 빌드업을 전개하는 모습은 이전과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아시안컵까지 상대방의 밀집 수비에 매우 고전했던 대표팀은 이날 중원에 최대한 많은 인원을 배치하면서 동시에 양쪽 풀백들의 오버래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공격 활로를 찾았다.
특히 역습 상황에서는 측면이나 후방에 패스를 넣을 중앙 미드필더 한 명을 제외하고는 순간적으로 5명의 선수가 볼리비아의 최종 수비진과 중원 사이에 포진하면서 많은 기회를 창출했다. 황인범은 볼리비아 선수들이 중앙으로 몰리는 순간마다 사이드로 롱패스를 건네며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변형 포메이션은 벤투 감독이 강조하는 빌드업 상황에서도 빛이 났다. 홍철과 김문환을 이용한 선수들은 끊임없이 삼각형의 공간을 만들어내며 패스 길을 열어냈다. 전반 31분에도 황인범-홍철-손흥민으로 이어진 장면에서도 득점만 없었을 뿐 패스 세 번으로 볼리비아의 수비를 완벽히 무너뜨리기도 했다.
그러나 무려 21개의 슈팅을 때렸음에도 유효 슈팅 4개에 그치며 1골차 승리를 거두는 등 고질적인 ‘골 결정력 부족’은 여전히 중요한 숙제로 남게 됐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만나는 상대들은 분명 이날 볼리비아처럼 골문을 잠그고 수세적으로 경기에 임할 가능성이 큰 만큼 오늘처럼 마무리를 짓지 못한다면 예상외의 결과를 맞이할 수도 있다. 결졍력 외에도 측면 크로스의 정확성, 골문 앞에서의 정돈된 움직임 등도 개선해야할 부분이다.
한편 이날 4-2-3-1의 측면이나 공격형 미드필더 자리에 국한되지 않았던 손흥민의 움직임은 훌륭했다. 전반 41분 압박 과정에서 맞이한 일대일 찬스를 놓친 장면은 매우 아쉬웠다. 그러나 후반전 황의조와 연출한 키 패스와 여러 수비수들을 앞에 두고 개인기를 통해 위협적인 장면들을 연출했던 손흥민이다.
득점만 없었을 뿐, 최전방 공격수와 함께 서면서 고립되지 않은 손흥민이 얼마나 위력적인지를 보여준 경기였다. 분명 이전까지 대표팀에서 다소 무기력했던 모습과는 확연히 달랐다. 감을 찾은 듯 한 손흥민은 경기 종료 직전에는 가레스 베일을 연상케 하는 단독 질주도 선보이기도 했다.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벤투호의 전반적인 경기력은 합격점을 받을 만했다. 그러나 대표팀의 최종 목표는 월드컵에서의 선전인 만큼 오는 26일 피파랭킹 12위에 빛나는 콜롬비아를 상대로도 이날 보여준 플레이가 일시적인 ‘허상’이 아니었음을 증명해내야 한다.
다만 ‘밀집수비 파훼’와 ‘손흥민 활용 극대화’를 위해 볼리비아전에서 벤투 감독이 꾀한 변화는 그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줬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