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화산 폭발. /사진=평양사진공동취재단

백두산에서 화산 분화 징후가 포착됐다. 지질연에 따르면 백두산은 지하에 거대 마그마 존재가 확인된 활화산으로, 최근 들어 화산분화 움직임이 있따라 관측되고 있다.
백두산은 과거 기록을 토대로 946년 한차례 대분화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당시 백두산에서 남한 전체를 1m 두께로 덮을 정도의 엄청난 분출물이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지난 1만년 사이 지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 분화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백두산은 2002∼2005년 사이 천지 근방에서 화산지진이 3000회 이상 관측됐다.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 역시 발견됐는데, 학계에서는 모두 화산 분화 징후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범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분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심재권 의원(서울 강동구을)과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구을),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1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학계·연구기관·언론·정부 부처 관계자 등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는 백두산 화산활동의 감시 연구 활동 공유와 인도주의적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통한 범국가적 차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2017년 9월 백두산 화산의 첨단 연구결과를 제시한 국제학술회의, 2018년 2월 남북과학기술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 국회 과학기술외교포럼에 이어, 이번 토론회는 백두산 화산 재해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의 필요성 확산과 인도주의적 대응책 마련을 위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