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5만원권에 세상에 나온 지 10년 만에 화폐왕좌에 앉았다. 5만원권이 소비지출, 경조사에 일상적으로 활용되면서 올해 유통량은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19일 발간한 ‘5만원권 발행 10년의 동향 및 평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시중에 유통중인 은행권 중 5만원권은 금액기준으로 98조3000억원(84.6%)으로 집계됐다. 장수기준으로는 19억7000만장(36.9%)이다.
2009년 6월23일 등장한 5만원권은 경제규모가 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최고액권으로 발행됐다. 지난해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5만원권의 용도로 소비지출이 43.9%, 경조금이 24.6%로 나타났다. 또 국민들은 거래용 현금의 43.5%, 예비용 현금의 79.4%를 5만원권으로 보유했다.
5만원권 발행 이후 환수율이 2014년 20%대로 낮아지면서 한때 ‘지하경제로 유입된다’는 우려가 증폭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5월말 기준 연중 환수율이 66.6%, 누적 환수율은 50.0%로 상승되는 추세다.
한은 관계자는 "환수율이 발행 초기인 2013~2015년 일시 하락했지만 최근 연중 환수율이 60%를 넘어서면서 안정적인 상승추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5만원권의 대량·정밀 위조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높게 평가했다. 5만원권 위폐발견 장수는 2009년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4447장으로 같은 기간 전체 발견된 위폐의 9.2% 수준이다. 띠형 홀로그램과 입체형 노출 은선 등 첨단 위조방지 장치가 삽입돼 있는 데다 고액권에 대한 위폐 경각심도 높아졌다.
5만원 발행 확대로 자기앞수표 발행은 크게 줄었다. 최고액면이 상향된 결과로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수요가 5만원권으로 대부분 대체됐기 때문이다. 10만원 자기앞수표 교환 장수는 2008년 9억3000만장에서 지난해 8000만장으로 급감했다.
5만원 발행 확대로 자기앞수표 발행은 크게 줄었다. 최고액면이 상향된 결과로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수요가 5만원권으로 대부분 대체됐기 때문이다. 10만원 자기앞수표 교환 장수는 2008년 9억3000만장에서 지난해 8000만장으로 급감했다.
한은 관계자는 "자기앞수표는 사용할 때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고 서명을 하는 등 절차가 번거롭고 은행권에 비해 위조방지 장치가 취약해 위변조 피해도 다수 발생했다"며 "5만원권이 등장한 뒤 자기앞수표 사용이 줄면서 상당한 사회적 낭비요인이 소멸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