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박재욱 VCNC 대표. /사진=뉴스1 유승관 기자
택시업계와의 갈등으로 논란의 대상이 됐던 ‘타다’가 택시 제도권 안으로 들어온다. 정부는 초고령 택시 위주의 면허를 매입하고 감소한 면허 수만큼 플랫폼 업체에 대여하는 방식을 허용하기로 했다.국토교통부는 1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혁신성장과 상생발전을 위한 택시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VCNC 측은 이번 발표 후 즉각 공식입장을 발표하며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박재욱 VCNC 대표는 공식 입장문에서 “현행 서비스를 개선하고 더 나은 이용자 경험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국토부의 발표는 타다가 실현해 온 국민의 지지를 받는, 국민들에게 다양하고 안전하고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 택시산업과 별도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게 된다는 시대적 요청과 가치를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 대표는 “기존 제도와 기존 이해관계 중심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택시산업을 근간으로 대책을 마련한 까닭에 새로운 산업에 대한 진입장벽은 더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기존 택시사업과 새로운 모빌리티 산업을 포함해 국민편익 확대 차원에서 새로운 접근과 새로운 협약이 필요하다”며 “기존 산업과 새로운 사회적 가치에 기여하는 방안을 만들어 가겠다”고 다짐했다.
마지막으로 박 대표는 “타다의 창업 목표 중 하나인 사회적 기여, 사회적 가치를 위한 실행 계획을 빠른 시일 안에 제안하도록 하겠다”며 “이용자 편익을 취우선으로 한 새로운 교통면허, 새로운 혁신총량제 등 새로운 환경에 대한 비전도 포함될 것이다. 정부, 국회 등 사회전반의 관계자들과 계속 대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