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진=뉴스1
지난 8월 임명된 김광진 청와대 정무비서관이 10억5785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광철 민정비서관은 9억1922만원, 정동일 사회정책비서관은 6억9821만원, 유대영 자치발전비서관은 6억8616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9일 공개한 11월 고위 공직자 재산 공개 자료에 따르면 김광진 정무비서관의 재산은 배우자 명의의 아파트 2채와 오피스텔 전세권 10억990만원, 본인과 배우자·장남 예금 5억2287만원 등을 더해 총 10억5785만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과 예금액이 15억원을 넘었지만 5억원 정도의 채무액을 더해 총 재산은 10억5785만원으로 신고했다. 김 비서관 명의의 부동산은 없었고, 배우자 명의로 된 아파트 2채와 오피스텔 전세임차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김 비서관의 배우자는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아파트 1채(114.98㎡), 서울 서초구 방배동의 아파트 1채(103.00㎡),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2가 오피스텔(41.00㎡) 전세임차권 등 자신 명의의 부동산으로만 10억 990만원을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본인 명의의 예금 6213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고, 배우자는 4억5333만원의 예금을 신고했다. 장남 명의로는 741만원의 예금이 있었다. 그는 또 상장주식 120만8000원, 배우자는 6458만원 상당의 주식을 각각 신고했다.
김 비서관은 본인 명의의 금융기관 채무 7900만원, 배우자는 사인 간 채무 5억500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이광철 민정비서관은 본인과 배우자 공동명의의 아파트 5억8900만원과 모친 명의의 연립주택 전세임차권 5000만원, 본인·배우자·모친·장녀·차녀의 예금 2억6089만원 등 총 9억1922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아울러 정동일 사회정책비서관은 배우자 명의의 아파트 전세임차권(5억원), 본인을 포함한 배우자·장남·장녀 예금 1억8212만원 등 총 6억9821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대영 자치발전비서관은 본인과 배우자 공동명의의 겸기도 김포시 운양동 아파트 2억4000만원에 본인의 금융기관 채무 1억612만원 등을 더해 총 6억8616만원을 신고했다.
총선 출마를 위해 청와대를 떠난 전직 비서관들의 재산은 대체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한기 전 제1부속비서관은 종전 8억3130만원의 재산에서 2억2972만원 증가한 10억6103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본인과 배우자의 예금이 1억627만원 늘었다. 복기왕 전 정무비서관은 기존 10억802만원에서 9039만원 증가한 11억7061만원의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영배 전 민정비서관은 4313만원 늘어난 3억4431만원, 민형배 전 사회정책비서관은 기존보다 4769만원 증가한 9억2295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