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미약품
한미약품은 미국의 RAPT Therapeutics, Inc.와 총 5800만달러(약 690억원) 규모의 경구용 면역항암제 도입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공시했다. 미국 RAPT Therapeutics, Inc.의 경구용 면역항암제에 대한 한국과 중국(대만, 홍콩 포함)에서의 개발, 허가, 판매권을 획득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기술도입 총 금액은 5800만달러며 계약금은 400만달러(약 48억원)이다. 한미약품은 개발과 허가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총 5400만달러(한화 642억원 규모)를 지불할 계획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계약으로 랩트와 협력해 FLX475을 개발하고, 향후 상용화시 한국과 중국(대만·홍콩 포함)에서의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랩트는 2015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설립된 면역항암제 전문 바이오텍으로, 현재 다수의 경구용 면역항암제 및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나스닥 상장(NASDAQ:RAPT) 기업이다.
한미약품이 도입한 FLX475는 면역세포의 암세포 공격력을 활성화하는 혁신적 경구용 면역항암제다. ‘활성화 T 세포’ 기능을 강화하는 기존 면역항암제와는 달리 면역을 억제하는 ‘조절 T세포’와 이 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CCR4’를 타깃으로 한다. 자체적인 세포 독성을 갖지 않으면서도 조절 T 세포 이동에만 관여하기 때문에 약효는 물론 안전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차별점을 통해 단독 치료 효능뿐만 아니라, 기존 면역항암제와의 병용에 따른 치료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한국과 중국에서 위암 환자 대상 FLX475 임상 2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FLX475 임상 개발을 진행할 방영주 서울대병원 교수(혈액종양내과)는 “FLX475는 ‘charged tumor’에 해당하는 위암, 비소세포폐암, 삼중음성 유방암, 두경부암 등을 타깃으로 한다”며 “한국은 특히 전 세계에서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국가인 만큼, 치료제가 절실한 환자들에게 혁신적이고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