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룩시장구인구직이 직장인 7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의 희로애락’이라는 주제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미지투데이

이에 따르면 직장인이 가장 기분 좋은 순간으로 ‘월급 받을 때’(39.7%)를 1위로 꼽았다. 이어 ‘승진했을 때’(17.6%), ‘성과급 받을 때’(15.1%), ‘휴가 쓸 때’(13.6%), ‘업무성과가 좋을 때’(8%), ‘칭찬받을 때’(6%)의 순이었다.
직장인들이 가장 화를 느낄 때는 ‘인격모독 발언을 들을 때’(32.2%)였다. 이어 '부당한 업무지시를 받을 때’(27.6%), ‘성과, 능력을 과소평가 받을 때’(16.6%), ‘휴일에 회사 행사에 동원될 때’(10.1%), 업무성과를 가로채기 당했을 때(9%) 등의 의견이 있었다.
©벼룩시장구인구직
화를 나게 하는 대상은 ‘상사’(72.9%)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밖에 ‘클라이언트’(10.6%), ‘동기’(10.6%), ‘거래처 및 협력사 직원’(4%), ‘후배’(2%)가 있었다.
화가 날 때는 무조건 참는다는 의견보다는 표현한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가장 많은 62.3%가 ‘표정을 굳히거나 말을 하지 않는 등 간접적으로 표현한다’고 답했으며 14.1%는 ‘직접적으로 표현한다’고 답했다.

‘무조건 참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23.6%였으며 그 이유로는 ‘불편한 상황을 만들고 싶지 않아서’(44.7%), ‘화를 내도 달라질게 없어서’(29.8%), ‘나 하나만 참으면 해결될 일이라서’(17%), ‘내 평판이 나빠질까 봐’(8.5%)를 들었다.


직장인으로 서러운 순간 1위는 ‘별 것 아닌 걸로 트집 잡힐 때’(31.7%)였다. 다음으로 ‘내가 하지도 않은 일로 혼날 때’(23.1%), ‘나한테만 업무가 몰릴 때’(13.1%), ‘시키는 대로 했는데 혼날 때’(12.1%), ‘일이 많아 휴가를 쓰지 못할 때’(8%), ‘나 혼자만 남아서 야근할 때’(6.5%), ‘못 마시는 술을 억지로 마셔야 할 때’(5.5%)였다.

그리고 ‘퇴근 직전에 일이 생길 때’(31.7%) 직장인은 가장 짜증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같은 일 여러 번 반복하게 할 때’(24.1%), ‘상사, 동료가 나에게 일을 미룰 때’(22.1%), ‘의미 없는 야근을 해야할 때’(15.1%), ‘갑자기 회식 일정이 생길 때’(7%) 짜증이 난다고 답했다

한편 직장인들은 회사에서의 감정표현을 솔직하게 하냐는 질문에 ‘최대한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적으로 행동한다’(40.7%)고 답해 주관적인 감정을 배재하고 객관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긍정적인 감정만 표현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29.1%였으며 ‘솔직하게 하는 편이다’, ‘부정적인 감정만 표현한다’가 각각 20.1%, 10.1%로 뒤를 이었다.


동료들이 감정을 알아주길 원할 때는 ‘업무적으로 힘들 때’(43.2%)가 가장 많았으며 계속해서 ‘내 감정에 대해 알아주지 않아도 괜찮다’(19.6%), ‘개인적으로 힘든 일이 있을 때’(17.6%), ‘업무적으로 좋은 일이 있을 때’(14.6%)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