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부자들은 평균나이 41세가 되는 시점부터 부를 크게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부를 축적한 가장 큰 수단은 '사업소득'이었다./사진=뉴스1DB
우리나라 부자들은 평균나이 41세가 되는 시점부터 부를 크게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부를 축적한 가장 큰 수단은 '사업소득'이다.

하나은행과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일 우리나라 부자들의 자산관리 형태를 분석한 '2020 Korean Wealth Report'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하나은행 PB고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 내역을 분석한 결과다. 특히 부자들의 경기 전망과 부동산, 금융자산, 해외자산에 대한 투자행태 변화, 자산축적 및 노후준비 계획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부자들의 시드머니 확보 시기는 평균 41세다. 시드머니를 확보하는 1순위 수단은 사업소득이 32.3%로 가장 많았고 상속 및 증여(25.4%), 근로소득, 부동산투자 순이다.

부자가 된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추가적인 부를 축적한 1순위 수단도 사업소득(31.5%)이다. 다음으로는 부동산투자(25.3%)였다. 근로소득(15.1%)은 부의 축적수단으로 응답률이 낮았는데 사업소득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부자들이 축적한 자산을 처분하는 수단은 노후준비 50%, 상속 25%, 증여 18%, 기부 3% 등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자산이 많을수록 노후준비보다 상속이나 증여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재 더 많은 자산을 보유할수록 노후준비보다 후세대에 대한 상속 및 증여에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최근에는 세금절감 이슈로 사전증여가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인데 부자들이 자녀에게 증여하는 시기는 평균 65.2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 증여를 받는 자녀의 평균 나이는 34.9세다.

보고서는 "자녀 등에게 상속하는 시기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생명표 상의 평균 수명인 82.7세로 추정해 볼 수 있다"면서 "부자들의 경우 훨씬 나은 환경과 의료서비스를 고려할 때 평균 수명보다는 다소 늦은 시기에 상속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