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 환자 수가 3배, 2차감염은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다. 가족간 감염을 막을 수 있는 격리대책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11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코로나19 해외유입 확진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일 0시 기준 해외유입 확진 환자 수는 869명으로 2주 전인 지난 3월27일 309명보다 약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해외유입 확진 환자들에 의한 2차감염은 52명에서 137명으로 2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2차 감염자의 절반 이상이 확진 환자들의 가족이다.

의료계에서는 해외유입 확진 환자들의 집안 내 자가격리 수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가족 내 감염이 일어나는 것이라는 관측이다.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해외입국 자가격리자들은 가족 내 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집 안에서도 자가격리 지침을 지켜야 한다. 코로나19의 경우 초기에 증상이 경미하고, 증상 발생 전부터 전파력이 있기 때문에 집 안에서 가족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자가격리자는 가족과 방과 화장실을 별도로 써야하고, 식사도 따로해야 한다. 가족과 대화할 때는 마스크를 쓰고, 2m 이상 거리를 두고 대화해야 한다.

정부도 가족 간 2차 감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지난 1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해외유입 사례 중 가족 간 전파가 60%.. 집안에서 자가격리수칙 어길 경우 처벌이 가능하느냐'는 질문에 이 같이 말했다.

김 1총괄 조정관은 "가족 간 전파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이 점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하고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만 역학조사 과정을 통해 어떠한 경로로 가정 내 전파가 이뤄지고 있는지 조사 결과를 확인해야 검토와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무래도 가족들과 같이 가정 내에 머물게 되면 빈번한 접촉의 기회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파의 가능성은 높을 것"이라면서 "지침으로 내려드리는 여러 가지의 수칙들을 철저하게 이행하는 과정에서 혹여라도 그 수칙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위험성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검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대본은 구체적으로 지역사회 전파 차단 차원에서 일부 지자체가 시행하고 있는 안심숙소 할인 제도를 일반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미 일부 지자체의 경우 2차 감염을 막기위해 해외입국 자가격리자 가족들에게 안심숙소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해외입국자는 자택에서 혼자 격리하고, 국내 가족은 지자체가 제휴를 맺은 숙박 장소에서 머무를 수 있도록 숙박료를 50~70%까지 할인해주는 것이다.

서울 은평구, 경기 고양시, 경기 광명시, 전남 목포시 충북 청주시 등이 이를 운영 중이다. 서울 중구는 서울 자치구 중 처음으로 관내 호텔 한 곳을 자가격리 입국자 전용 임시 생활시설로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