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우리금융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518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8.9% 감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으로 구성된 순영업수익은 같은 기간 3.0% 증가한 1조7769억원을 기록했다. 이자이익은 시장금리 하락추세에도 핵심예금 유치 노력의 성과로 조달비용이 감소하며 0.6% 늘었다.
비이자이익은 신규 편입된 자회사들의 손익기여가 본격화되며 15.9% 증가했다. 대출 자산은 기업대출이 5.7% 증가한 영향에 힘입어 전년 말 대비 2.8% 증가했다. 반면 1분기 충당금이 1111억원으로 전년동기 600억원 보다 511억원 늘어 순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자산건전성(은행기준) 부문은 경기침체로 인한 건전성 훼손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40%, 연체율 0.31%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됐다.
자산건전성(은행기준) 부문은 경기침체로 인한 건전성 훼손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40%, 연체율 0.31%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준으로 관리됐다.
또 여신문화 확산과 리스크관리 능력을 향상한 결과로 우량자산 비율은 85.8%, NPL에 대한 커버리지 비율도 120.7%를 기록하며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우리자산신탁과 우리자산운용, 우리글로벌자산운용 등 우리금융에 신규 편입된 자회사들의 경영성과가 이번 분기부터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다. 글로벌부문은 1분기 약 530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그룹 당기순이익 내 비중을 10% 이상으로 유지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우리자산신탁과 우리자산운용, 우리글로벌자산운용 등 우리금융에 신규 편입된 자회사들의 경영성과가 이번 분기부터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다. 글로벌부문은 1분기 약 530억원의 순이익을 거두며 그룹 당기순이익 내 비중을 10% 이상으로 유지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국내 금융산업은 큰 도전에 직면했으나 펀더멘털(기초여건)은 공고한 수준"이라며 "지난 몇 년에 걸쳐 이룬 안정적 수익창출 능력과 탄탄한 건전성 관리 능력으로 불확실성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 대출 등 여신지원과 금융시장 안정프로그램 참여 등 금융의 사회적 역할을 통해 금융시스템 안정에도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