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센터 /사진: 뉴스1

포스코가 그룹내 물류역량을 통합해 물류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한다.

12일 포스코는 물류통합 운영법인‘포스코GSP(Global Smart Platform)(가칭)’를 연내 출범을 밝혔다. 물류 통합법인은 포스코 및 그룹사 운송물량의 통합계약과 운영관리를 담당한다. 나아가 물류파트너사들의 스마트·친환경 인프라 구축을 지원해 물류 효율과 시너지효과를 높이는 게 목표다.

현재 철강원료 구매, 국내외 제품판매와 관련된 각종 운송계약 등 물류 기능이 포스코 계열사별로 흩어진 상황이다. 이를 하나의 회사로 통합해 중복과 낭비를 없애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것.

계열사를 포함한 지난해 물동량은 약 1억6000만톤, 물류비는 약 3조원 규모에 달한다. 그럼에도 물류업무가 회사별, 기능별로 분산돼 판매 및 조달지원기능으로만 운영되는 등 효율성과 전문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됐다.
 
철강업 특성상 물동량이 많아 이미 유럽, 일본, 중국의 글로벌 철강사들은 물류효율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 물류 전문계열사를 운영 중이다.

포스코는 물류통합 법인인 포스코GSP가 원료 및 제품의 수송계획 수립, 운송계약 등의 물류서비스를 통합 운영해 효율성을 높이고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기반의 물류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나아가 포스코GSP는 엄격해지는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해 물류파트너사와 함께 친환경 물류인프라를 구축한다. 국내 해운·조선사와 협업해 선박 탈황설비 장착 및 LNG추진선 도입을 지원하고 디젤엔진 등으로 작동하는 항만 설비의 전기동력으로의 전환 지원, 친환경 운송차 운영지원 등을 추진한다.

화물차주 대상으로 운송직거래계약도 도입한다. 화물차주가 직접 입찰에 참여하고 화물운송, 운송료 정산까지 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포항과 광양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육상운송에 직접 참여할 의향이 있는 개인 화물차주 모집을 시작했다. 시범사업으로 시행되는 이번 화물차주 직거래 계약·운송은 6월부터 시범운영을 거쳐 개선사항 등을 반영해 물류법인 설립시 반영할 방침이다.

한편 관련업계 일각에서는 포스코 물류통합 법인이 해운업, 운송업까지 사업영역을 침범, 물류 생태계를 망가뜨릴 것으로 우려한다. 

이에 포스코는 해운업은 물론 운송업에 진출할 계획이 없다고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