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수영구 일대 아파트값이 치솟고 있다. 사진은 광안리해수욕장에서 바라본 수영구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김창성 기자
최근 부산 수영구 아파트값이 대구 수성구 아파트 가격까지 따돌리며 압도적인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1월 부산 수영구와 동래구·해운대구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한 이후부터 이 같은 상승세가 이어졌다.
9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6월 부산 수영구와 대구 수성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각각 1563만5000원, 1555만8000원이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조정대상지역 해제 이후 부산 수영구의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지난해 11월 1599만3000원에서 12월 1742만8000원으로 상승하더니 올 6월에는 1982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조정대상지역 해제 이후 수영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24% 상승하자 수영구와 수성구의 아파트 가격 격차는 지난해 6월 7만7000원에서 375만2000원으로 확대됐다.


부산 수영구가 조정대상지역 해제로 아파트값이 치솟는 동안 대구 수성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지난해 11월 1568만1000원에서 올 6월 1607만5000원으로 2.2% 상승하는데 그쳤다.

부산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는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에서도 확인됐다. 부산 수영구 남천동 소재 ‘삼익비치’ 전용면적 131㎡는 지난해 6월 8억1800만원(7층)에 거래됐지만 올 6월에는 17억5000만원(7층)에 팔려 1년 동안 9억3200만원(113.94%↑) 뛰었다.

삼익비치 뿐만 아니라 수영구 민락동 ‘센텀비스타동원’도 가격이 치솟고 있다. 해당 아파트 109㎡는 지난해 6월 7억원(19층)에 거래됐지만 올 6월에는 9억원(15층)에 거래되면서 1년 동안 2억원 올라 28.57%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대구 수성구의 랜드마크인 범어동 ‘두산위브더제니스’ 143㎡는 올 6월 17억원(19층)에 거래됐다. 이는 지난해 6월 16억7000만원(19층)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1년 동안 3000만원 상승해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았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부산 수영구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서울 재건축 아파트와 달리 실거주 2년 의무화 규제에도 해당되지 않아 이 일대 아파트 가격이 급격하게 치솟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