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양 인근 지역을 촬영한 상업용 인공위성 사진에서 핵개발 의심시설이 가동 중인 정황이 포착됐다. /사진=뉴스1(플래닛랩스 제공)
미국 CNN방송은 8일(현지시간)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가 민간위성업체 플래닛랩스가 촬영한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평양 인근 원로리에 위치한 핵개발 의심시설 주변에서 다수의 차량 이동이 관측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문가들은 원로리의 해당 시설에 대해 핵탄두 제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의 제프리 루이스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은 "보안 경계선과 부지 내 사택,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북한 지도자 방문 관련 기념물, 지하시설 등 북한의 핵시설임을 보여주는 모든 특징이 담겼다"며 "이 시설은 그런 특징이 없는 생수공장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루이스 소장은 "승용차와 트럭, 화물컨테이너 등 차량 운행이 많은 점이 눈에 띈다. 시설의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다"며 "이는 여전히 핵무기를 만들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CNN에 따르면 원로리의 핵개발 의심시설은 지난 2015년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 연구진이 처음 확인했으나 당시엔 이 시설이 북한의 핵개발과 관련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가 특정되지 않아 발표하지 않았다.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의 제프리 루이스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은 "보안 경계선과 부지 내 사택,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북한 지도자 방문 관련 기념물, 지하시설 등 북한의 핵시설임을 보여주는 모든 특징이 담겼다"며 "이 시설은 그런 특징이 없는 생수공장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루이스 소장은 "승용차와 트럭, 화물컨테이너 등 차량 운행이 많은 점이 눈에 띈다. 시설의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다"며 "이는 여전히 핵무기를 만들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CNN에 따르면 원로리의 핵개발 의심시설은 지난 2015년 제임스 마틴 비확산연구센터 연구진이 처음 확인했으나 당시엔 이 시설이 북한의 핵개발과 관련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가 특정되지 않아 발표하지 않았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