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는 8월 이른바 '데이터3법' 본격 시행되면서 새로운 금융산업인 마이데이터시장의 포문이 열린다. 마이데이터는 금융권에 흩어진 개인정보를 한꺼번에 모아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는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고객들은 은행, 보험, 카드 등 개별 금융회사에 각각 접근해 정보를 수집했던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금융상품 가입·자산 내역 등 자신의 신용정보를 한눈에 파악해 쉽게 관리할 수 있다. 금융상품 조건을 비교해 보다 유리한 상품에 가입을 할 수도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정부가 오는 2023년까지 국내 데이터시장을 30조원으로 키운다는 계획을 밝힌 가운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은행과 핀테크 업체의 눈치싸움이 치열하다.
━
데이터분석 전문가 영입… 금융서비스 통합 검토━
9일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은행은 데이터사업부를 별도 구축하고 데이터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농협은행은 디지털금융부 안에 데이터사업부를 별도로 설치했다. 데이터 분석·마케팅 전문가인 이상래 전 삼성SDS 상무를 디지털금융부문장(부행장급)으로 앉혔다. 데이터사업부는 각 부서의 데이터 사업 관련 기획·분석·솔루션 개발·마케팅을 총괄하고 마이데이터 사업도 맡는다.
최근 농협은행은 디지털금융부 안에 데이터사업부를 별도로 설치했다. 데이터 분석·마케팅 전문가인 이상래 전 삼성SDS 상무를 디지털금융부문장(부행장급)으로 앉혔다. 데이터사업부는 각 부서의 데이터 사업 관련 기획·분석·솔루션 개발·마케팅을 총괄하고 마이데이터 사업도 맡는다.
하나은행은 '데이터 분석역량'이 마이데이터 사업의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하나금융융합기술원과 손님빅데이터센터가 중심이 돼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마이데이터 시행 이후 부동산, 자동차, 뱅킹, 페이 등 여러 앱으로 나눠서 제공하던 서비스를 통합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은행권이 마이데이터 시장 준비에 적극 나선 이유는 핀테크, IT기업들이 은행의 데이터를 활용하면 경쟁력 있는 금융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어서다. 반면 핀테크 업체들은 신용평가에 대한 데이터가 적어 은행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미미하다.
은행권은 IT대기업이 네이버처럼 자회사를 만들어 금융데이터만 활용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실제 네이버는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 정보를 공개하는 대신에 은행·카드사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다.
은행 관계자는 "사실상 기울어진 운동장인 빅테크의 금융권 진출이 과도한 경쟁을 일으킬 수 있어 사전에 대비하고 있다"며 "공급자 중심 서비스를 개인 중심으로 정교화·고도화한 업체가 마이데이터 시대의 승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이 지난 5월14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한 사전수요 조사 결과 마이데이터 사업자를 희망한 업체 수는 총 119개로 집계됐다.
최소 자본금 5억원, 시스템 구성·보안 체계 등 물적 요건, 사업계획 타당성, 대주주 적격성, 선임 예정 임원 자격, 본인신용정보관리업무 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전문성 등 6개 법규상 허가요건을 지녔는지 여부를 심사한 뒤 최종 사업자가 선정된다. 마이데이터 사업자는 금감원의 향후 정기 감독·검사 대상에 포함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