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에서 패색이 짙은 가운데서도 공공기관 고위 관리를 기습적으로 해임했다. 선거 불복 소송 전에 대비해 권력누수를 막기 위해 눈엣가시들을 제거하는 보복성 물갈이 인사라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CNN에 따르면 백악관은 6일(현지시간) 보니 글릭 국제개발처(USAID)을 전격 해임하고 존 바사 처장대행을 부처장 대행에 임명했다.
글릭 부처장은 이날 오후 2시45분께 같은 날 오후 5시까지 그만두지 않으면 대통령 뜻에 따라 해고될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 글릭 부처장은 이를 거부하자 당장 나가라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사임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글릭 부처장의 해임으로 트럼프 행정부와 조 바이든 행정부 간 인수인계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CNN은 보도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백악관은 이날 닐 채터지 연방 에너지규제위원회 위원장도 강등시켰다. 채터지 위원장은 화석연료 사용을 옹호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와 달리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포용했다. 채터지 위원장을 대신해서는 키고 동료 위원인 제임스 댄리를 임명했다.
채터치 위원장은 "내가 왜 좌천됐는지 모른다"며 "최근 정책이 그 이유라면 그럴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린 뉴딜도 청정에너지도 국가 탄소세도 없는 게 미국의 현실"이라며 "우리는 특단의 역할을 한 것"이라고 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결과에 불복하겠다고 선언한 뒤에 나왔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인사, 행정권 등 현직 대통령의 프리미엄을 불복에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전략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부정선거 소송전을 진행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권력 누수를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폴리티코는 크리스토퍼 레이 연방수사국 국장과 마크 에스퍼 국방부 장관 등 그동안 트럼프 행정부와 마찰을 빚었던 일부 최고위급 참모도 해임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중국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순방 일정을 재개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