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금융감독원
우리카드와 현대카드가 금융감독원이 실시한 금융소비자보호평가에서 유일하게 종합등급 ‘우수’ 평가를 받았다.
30일 금감원은 국내 71개 금융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소비자보호실태를 현장점검해 ‘2020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를 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은 올해 소비자보호 지배구조와 금융회사의 소비자보호 혁신노력 등에 중점을 두고 실태평가를 진행했다. 다만 사모펀드 사태 등과 같이 다수 민원 발생 등으로 소비자 피해를 유발해 사회적 물의를 초래하거나 중징계 조치를 받은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종합등급을 1단계 하향했다.


평가결과 종합등급에서는 전체 71개 금융회사 가운데 우리카드와 현대카드 등 2곳만이 종합등급 ‘우수’를 받았으며 ‘양호’ 등급이 전체의 33.8%인 24개사, ‘보통’ 등급이 47.9%인 34개사로 나타났다.

‘미흡’ 등급을 받은 금융회사는 15.5%로 11곳이었다. 기업은행, 부산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삼성생명, KDB생명, 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KB증권, NH증권 등이 포함됐다.

업권 별로는 16곳 은행 중 3곳이 ‘양호’ 평가를 받았고 ‘보통’과 ‘미흡’이 각각 8곳과 5곳이었다. 18곳 생명보험사 중 ‘양호’는 5곳, ‘보통’은 11곳, ‘미흡’은 2곳이었으며 11개 손해보험사 중 ‘양호’는 5곳, ‘보통’은 6곳으로 집계됐다.


7곳 카드사 중 ‘우수’는 2곳, ‘양호’는 3곳, ‘보통’은 2곳이었으며 9곳 저축은행 중 ‘양호’는 5곳, ‘보통’은 4곳으로 나타났다. 10곳 증권사 중 ‘양호’는 3곳, ‘보통’은 3곳, ‘미흡’은 4곳이었다.

금감원 측은 “사모펀드 관련 소비자 피해를 유발한 은행 5개사(기업, 부산, 신한, 우리, KEB하나)와 증권 4개사(대신, 신한금투, KB, NH)는 종합등급을 1등급 하향해 미흡으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