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왼쪽)과 노영민 비서실장이 지난달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김종호 민정수석이 잇단 국정 운영 잡음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했다. 청와대는 백지로 돌아가 국정 일신의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인데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개각으로 단지 '지지율 반등'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30일 춘추관 브리핑에서 "노영민 비서실장과 김상조 정책실장, 김종호 민정수석은 오늘 문 대통령에게 국정 운영 부담을 덜어드리고 국정 일신의 계기로 삼아주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대통령께서 백지 위에서 국정 운영을 구상할 수 있도록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이날 오후 법무부와 환경부, 국가보훈처 등 3개 부처에 대한 인사도 단행했다. 문 대통령의 잔여 임기를 함께 할 개각 작업이 본격화 된 것.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후임으로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내정하고 환경부 장관에는 같은 당 한정애 의원을, 국가보훈처장에는 황기철 전 해군 참모총장을 각각 지명했다.

최근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무산, 코로나19 백신 수급 차질, 부동산 대책 논란 등 국정 혼란이 잇따라 야기되자 청와대 핵심 참모진 3인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고 새 개각을 꾸려 반전을 꾀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사람만 바뀔 뿐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부담을 주는 여러 환경은 그대로일 것이라고 지적한다.

아울러 '인적쇄신' 카드는 국정 지지율이 좋지 않을 때 돌파구로 사용되는 만큼 문 대통령의 임기 말 레임덕을 우려한 겉돌기식 대응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이어 추 장관만 경질할 경우 검찰개혁에 실패한 것이라는 이미지를 벗을 수 없기 때문에 광폭 개각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역대 최저치를 맴돌았다. 이에 청와대는 지난 25일부터 이번 사태 수습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문 대통령은 지난 26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독대했다. 지난 27일엔 정세균 국무총리와 주례회동을 가졌다.

취임 이후 인사에 소극적이었던 문 대통령도 이번에는 광폭 개각을 단행했다는 것은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해석이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추 장관만 교체하면 마치 검찰개혁이 실패한 것처럼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공수처장 지명 후 자연스럽게 후임 장관을 발표한 것"이라며 "청와대로선 이번 사태를 매듭지을 적절한 수단으로 인적쇄신 카드를 들고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당초 청와대는 내년 1월 중순쯤 중폭의 개각과 청와대 참모진 개편 등을 앞뒀으나 지난 24일 법원이 윤석열 검찰총장의 직무 복귀를 결정하면서 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공수처장) 지명과 장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추 장관과 윤 총장의 갈등을 마무리하고 공수처장을 지명해 검찰개혁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사의를 표명한 3인의 사의 표명에 대해 연말연초에 숙고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사표 수리와 후임 인선 문제는 빠르면 다음주쯤 결정된다. 이어 내년 초 추가 개각때 문 대통령이 이들의 후임을 임명하는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