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국민의힘이 내부 문건을 통해 정부에 '성폭행' 프레임을 씌우기 위한 전략을 계획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 /사진=뉴스1
정세균 국무총리가 4일부터 시작되는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국민의힘이 '성폭행' 프레임을 씌우기 위한 전략을 세웠다는 데 대해 "정말 믿고 싶지 않다. 차라리 가짜뉴스였으면 좋겠다"고 비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근심에 빠진 국민을 위한 질의도 아닌 오로지 정쟁과 분열의 프레임으로 가득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앞서 국민의힘이 대정부질문에 대비해 '답변자들에게 성폭행 프레임을 씌우라'는 내용의 지침을 소속 의원들에게 배포한 사실이 확인됐다. 국민의힘은 '대정부질문 사전전략회의 관련'이라는 제목의 당 내부 문건에 "질문자 4인은 질문 시작부터 결론까지 일관된 프레임 씌우기 전략을 구사"한다는 내용을 유의사항으로 게재했다.


이 문건에는 '반(反)기업, 반시장경제, 반법치주의, 성폭행'이 프레임의 주제로 제시됐으며 "프레임 씌우기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 적혔다. "지속적인 용어반복과 이슈 재생산이 필요하다"며 "경제무능, 도덕 이중성, 북한 퍼주기' 이미지를 각인"한다는 내용도 명시됐다.

정 총리는 "국회 대정부 질문은 국회와 행정부가 국정운영을 조율하고 정책을 의논하는 소중한 시간이다. 대정부 질문 시기가 오면 각 부처 공직자들은 밤을 새워가며 국회에 보고할 자료와 답변을 준비한다"고 밝혔다.

이어 "저 역시 정부가 혹여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 긴장의 고삐를 다잡는다. 그런데 그만 맥이 풀리는 보도를 보고 말았다"며 "야당이 정책 토론을 해도 모자랄 시간에 정쟁의 프레임을 덧씌우겠다는 가이드라인을 자당 의원들에게 배포했다는 내용"이라고 꼬집었다.


정 총리는 "정부는 국회에서 국민을 위해 의논하고 토론하고 싶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