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대기업 CEO 10명 중 7명은 ESG 경영에 관심이 있었다. / 사진=뉴시스
매출 500대 기업 최고경영자 10명 중 7명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심이 높지만 개념이 모호하고 기관마다 평가방식도 달라 전략 수립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 ESG에 대한 최고경영진의 관심도는 66.3%(매우 높다 36.6%, 다소 높다 29.7%)였다고 5일 밝혔다.
관련 경영전략 수립에 있어 애로요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9.7%가 'ESG의 모호한 범위와 개념'을 꼽았다.
이어 '자사 사업과 낮은 연관성'(19.8%), '기관마다 상이한 ESG 평가방식'(17.8%), '추가비용 초래'(17.8%), '지나치게 빠른 ESG 규제도입 속도'(11.9%) 등이 지적됐다.
ESG 경영의 구체적인 연간목표 수립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31.7%가 '수립했다', 39.6%는 '수립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ESG 위원회 설치 여부에 대해서는 45.5%가 설치(17.8%)했거나 할 예정(27.7%)이라고 답했다. 위원회 구성원의 경력은 전직 기업인(24.1%), 회계 전문가(20.7%), 교수(13.8%), 전직 관료(6.9%) 순이었다.
별도 ESG 전담조직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절반가량인 53.5%가 이미 마련(23.8%)했거나 마련할 계획이 있다(29.7%)고 답했다. 다만 관련 전문인력 채용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8.9%만 채용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ESG가 필요한 이유로는 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세부적으로는 '기업 이미지 제고 목적' 43.2%, '국내외 수익에 직결되기 때문' 20.8%, 'ESG 규제부담 때문' 18.0%, '투자자 관리(개인‧기관)를 위해' 15.3% 순이었다.
ESG에 따른 매출액 증감 전망치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차이 없다'는 응답이 33.7%, '0~5% 증가' 25.7%, '5%~10% 증가' 17.9% 순으로 응답해 기업 열 곳 중 네 곳 가량은 10% 이내의 매출 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전경련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기업은 101곳이며 응답률은 20.2%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