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 전경. /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기존 식량 사업을 더욱 확대해 '글로벌 Top 10 식량종합사업회사'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14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최근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함께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애그플레이션(agflation)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이 같은 결정을 했다.

한국 연평균 곡물 생산량은 450만톤, 매년 1600만톤을 수입하는 실정으로 곡물자급률은 21%에 불과하다. 특히 쌀을 제외한 밀(자급률 0.7%), 옥수수(3.5%), 콩(26.7%) 등의 곡물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포스코인터내셔널 측 설명이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2.1% 오르며 10개월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 곡물 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식량자급률이 낮은 국가는 주요 곡물 수출국의 생산현황과 국제 곡물가의 변동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오는 2030년까지 곡물 취급량 800만톤을 2500만톤 규모로 확대해 매출 10조원을 달성한다는 정량적 목표를 수립했다. 영농·저장·가공·물류 등 유통단계별 연계 강화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확보하고 국제 곡물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런 계획의 일환으로 우크라이나의 곡물 기업과 공동으로 추가 물량 조달 및 내륙 유통망 확보를 위한 자산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농업분야의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유망 어그테크(Ag-Tech) 기업과의 협업도 모색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식량사업 실적 추이. /자료=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제 주요 곡물 회사들이 주도하는 세계 시장에 도전한 이후 2020년 글로벌 곡물 취급량 800만톤을 달성해 2015년 84만톤 대비 5년간 약 9.5배 급성장을 이뤘다. 현재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터미널 ▲미얀마 쌀 도정공장 ▲인도네시아 팜오일 농장 등 식량생산국 현지 사업을 개발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인프라 운영과 트레이딩의 연계로 경쟁력을 확보 중이다.
농식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물량이 거래되는 교역품 중 하나다. 2018년 기준 농식품 시장 규모는 6조3000억달러이며 이는 철강시장의 6.3배, 자동차시장의 3.7배에 이르는 규모다. 더욱이 2050년 97억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세계인구가 장기적인 수요 상승과 곡물시장 성장을 가속화하는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식량사업은 사양시장이 아닌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전후방 산업으로 확장이 가능한 성장 시장"이라며 "식량 사업 확대로 주요 곡물기업에 버금가는 경쟁력을 갖춤으로써 수익창출과 식량안보에 기여하며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