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공공전세주택 현장. /사진제공=LH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난달 14~28일 공공전세주택에 대한 인식, 임대주택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2086명 가운데 73.9%인 1542명은 공공전세주택에 대해 '모른다'고 응답했다고 10일 밝혔다.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가 가장 높았다.

공공전세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도심에 신속히 건설 가능한 오피스텔, 다세대 등 신축주택을 신축매입약정 방식으로 매입해 전세로 공급하는 유형의 주택이다. 지난달 경기 안양시에 처음 공급돼 평균 경쟁률 26.8대 1(LH 집계 기준)로 마감됐다. 

공공전세주택 소개 후 입주자 모집에 참여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93.1%인 1942명이 '있다'고 답했다. 유주택자보다 무주택자 그룹에서 참여의향이 더 높았고 거주지역별로는 ▲인천 94.7% ▲기타 지방 94.2% ▲서울 94% ▲경기 92.1% ▲지방 5대광역시 90.8%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전세주택에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한(1942명) 응답자의 이유는 '시중 임대료보다 저렴할 것 같아서'가 32%로 가장 응답이 많았다. 이어 ▲월세가 아닌 전세형태라서(28.8%) ▲일정 주거 기간이 보장돼서(14.9%) ▲기존 공공임대보다 전용면적이 넓어서(9.9%) 등의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반면 공공전세주택에 참여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144명)의 응답 이유는 '주택특성을 잘 몰라서'가 25%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이어 ▲임대주택이라서(19.4%) ▲무주택세대가 아니라서(17.4%) ▲향후 주택 매입계획이 있어서(14.6%) ▲아파트가 아닌 오피스텔, 다세대 등의 형태라서(13.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존 공공임대주택이나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에 관심이 있거나 청약 의사가 있는지 물은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가운데 93.8%인 1957명이 '있다'라고 답했다. 50대(95.1%)에서 가장 관심이 높았고 이어 ▲40대 93.6% ▲20대 93.1% ▲60대 92.8% ▲30대 92.5% 순이었다.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무주택자(95%) 그룹에서 관심여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거주지역별로는 ▲서울과 인천(94.7%) ▲기타 지방(94.2%) ▲지방 5대광역시(93.4%) ▲경기(92.5%) 순으로 응답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