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그룹이 이스타항공 매각을 위한 본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했다. /사진=뉴스1
쌍방울그룹이 이스타항공 매각을 위한 본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했다.

1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진행된 이스타항공 인수합병(M&A) 본입찰에 쌍방울그룹만이 입찰서류를 제출했다. 당초 인수의향자는 쌍방울을 포함해 10여곳에 달했지만 예비실사 이후 본입찰까지 이어지지 못했다. 

쌍방울그룹과 더불어 유력 인수후보자로 거론됐던 하림도 본입찰에 나서지 않았다. 하림은 앞서 이스타항공 인수여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2500억원 수준의 부채가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반해 쌍방울그룹은 광림, 미래산업, 아이오케이로 구성된 광림 컨소시엄을 앞세워 이스타항공 인수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광림 컨소시엄은 이날 본입찰 서류 마감시한에 맞춰 입찰서류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광림 컨소시엄 관계자는 "광림 컨소시엄은 그동안 충분히 인수와 관련된 부분을 다각도로 검토해왔다"며 "인수와 관련된 자금 계획은 물론 인수 후의 과정도 충분한 검토를 마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는 본입찰에 대한 서류를 제출한 것으로 인수가 확정된 것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내용을 언급하기는 어렵다"며 "차후 최종적으로 마무리되면 구체적인 계획을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쌍방울그룹은 중국 지역에 12개 노선을 보유한 이스타항공을 인수해 그룹 내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쌍방울과 비비안이 중국 속옷 시장 공략을 위한 발판으로 이스타항공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 계열사 아이오케이컴퍼니도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과 매니지먼트, 음원 사업 등을 이스타항공과 연계해 'K-컨텐츠 항공문화산업'으로 발전시킬 수도 있다.

이번 인수전은 조건부 인수예정자가 있는 '스토킹 호스'(가계약 후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입찰과 관계없이 현재 우선매수권자가 종합건설업체 성정으로 지정된 상태다. 성정이 이스타항공과 예비 인수계약을 맺으며 제시한 인수가는 약 8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쌍방울이 본입찰에 참여하면서 제시한 인수가도 이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다소 상회하는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스토킹 호스 방식에 따라 성정이 추가로 자금력을 동원할지 여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서울회생법원은 쌍방울 컨소시엄이 적어낸 입찰금액과 성정의 인수희망 금액을 비교해 오는 21일쯤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