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남은 경선 과정에서 네거티브 중단을 선언했다. 사진은 이 전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경제부흥 비전 발표 기자회견 후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는 모습. /사진=임한별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는 남은 경선 과정에서 '네거티브를 중단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흠결을 부각하는 전략이 오히려 당심의 반발로 이어지면서 대선 민심의 바로미터로 평가받는 충청권 완패로 이어지자 전략을 바꾼 것으로 분석된다.

이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네거티브 선거로 오해받을 만한 일은 저도, 저의 대선캠프도 하지 않겠다"며 "모든 분야의 계층의 국민이 직면하실 미래, 국가와 지방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중점적으로 말씀 드리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이 전 대표 측은 이 지사의 '경기도 채용 비리 의혹'을 시작으로 '황교익 보은 인사 논란'과 '무료 변론 의혹' 등에 대한 공세를 이어왔다. 이른바 '명낙대전'으로 이 전 대표가 직접 이 지사를 겨냥해 수위 높은 발언을 쏟아낼 때도 있었다.

하지만 지난 주말 첫 결전지인 충청 경선의 성적표는 처참했다. 충청지역 최종 집계 누적은 이 지사가 54.72%로 과반 이상을 싹쓸이 한 반면 이 전 대표는 28.19%에 그쳤다. 이 전 대표가 자신감을 보였던 세종·충북 경선에서 이 전 대표의 권리당원 득표율은 29.26%에 머물렀다. 이 지사가 54.94%로 대세론을 증명한 것을 감안하면 네거티브 전략은 사실상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전날 이 전 대표는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긴급 전략 회의에 들어갔다. 오는 11일 이 지사가 강세를 보이는 대구·경북 순회 경선을 앞둔 만큼 검증 칼날을 세우는 태도는 오히려 독이 될 것이라는 전략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후 예정된 '대구·경북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토론회'에서 정책 대결을 시사했다. 이에 앞서 동작구 국립현충원을 찾아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해 당심을 향한 호소도 잊지 않았다.

이 전 대표는 "지금부터 제 정책적 고민을 양극화 해소에만 집중하겠다"며 "이미 제시한 국가 비전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도, 그것을 위한 정책 '신복지'와 '중산층 경제'도 사실은 양극화 해소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양극화 해소를 위해 무엇이든 하겠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진보적 정책이든 보수적 정책이든 활용하겠다"며 "경쟁 후보의 정책도 과감히 받아들이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충청권 권리당원의 절반 이상이 당의 대통령 후보를 뽑는 가장 영광스러운 권리를 포기했다는 것은 마음에 걸린다"며 "지금 상태로는 정권 재창출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