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위기에 처한 항공업계가 국회에 중장기적 대책 마련을 호소하며 신속한 관련법 입법을 촉구했다. 사진은 사람이 없어 한산한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출국장. /사진=뉴스1
항공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생존 위기에 몰려 물러날 곳이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이들은 국회에 중장기적 금융지원을 비롯해 항공산업발전조합 설립을 위한 항공사업법 법안심사 및 통과를 호소하며 신속한 입법 지원을 호소했다.
12일 한국항공협회에 따르면 최근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 국내 항공업체를 대표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항공산업발전조합 설립을 위한 항공사업법 통과 촉구 호소문’을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제출했다.

항공산업발전조합은 국토부 및 항공업계가 지난해 3월부터 지속되는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해 항공산업의 중·장기적 경쟁력과 위기대응능력 강화가 절실하다는 공감대 형성으로 설립 추진이 본격화됐다.


지난해 9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이어 올 1월 하영제 국민의힘 의원이 ‘항공산업발전조합’ 설립을 위한 항공사업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지난 3월 교통소위에서 한 차례 논의된 이후 아직까지 계류 중이다.

협회는 “수입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전체 항공업체 임직원의 59%가 유·무급 휴직을 통한 정부의 고용유지 지원금으로 연명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임시 생존 방편에 불가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태 장기화에 따라 당장 내일의 생존을 걱정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협회는 “정부가 기간산업안정기금 등을 통해 일시적 현금흐름에 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서는 단기 대응을 넘어 금융안전망 신설 등 중장기적인 종합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항공업계는 이를 위해 산업경쟁력 강화 및 육성을 위한 보증과 투자, 일시적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융자 등 종합적 금융기능이 가능한 조합 형태의 공신력 있는 기구 설립에 대한 국회의 적극적인 입법 지원을 촉구했다.

협회는 “즉각적이고 신속한 법안 통과로 대한민국 항공산업이 다시 비상해 국가경제와 국민편익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