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C가 중국 전력난의 원인으로 호주와의 긴장 관계에 따른 석탄 수입 장애를 꼽았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중국 화력발전소 모습. /사진=로이터
중국이 석탄 부족으로 전력난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의 경제침체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중국이 석탄을 원활히 공급받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은 악화된 호주와의 관계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난 5일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에 따르면 미즈호 투자은행 비슈누 바라탄 아시아·오세아니아 경제전략실장은 “중국은 전력 부족으로 인한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더 많은 석탄이 필요하다”며 “호주와의 긴장 관계가 석탄 수입에 장애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호주는 지난해 4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원지에 관해 국제적인 독립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당시 호주는 코로나19 발원지로 중국을 의심했다. 이에 중국은 호주산 와인, 보리 등 13개 분야에 대한 수입 제한·금지 등 경제 보복을 가했다. 문제는 수입 제한·금지 조치에 석탄도 포함됐다는 것이다.


중국은 당초 호주로부터 다량의 석탄을 공급받았다. 지난 2019년 기준 중국의 발전용 석탄 57%가 호주산이었다. 중국은 현재 호주를 대체해 석탄을 공급받을 국가를 찾지 못해 전력난을 겪고 있는 상태다.

중국은 석탄 부족을 메우기 위해 지난해 인도네시아와 15억달러(약 1조7797억원) 규모의 석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대체 공급원을 찾고 있으나 전력난을 해결하기엔 여의치 않다. 바라탄 실장은 “중국은 호주 대신 인도네시아 등 다른 국가에서 석탄을 수입하고 있지만 충분한 양이 아니다”며 “공급망 확보 문제로 인해 경제침체가 올 수 있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8.2%에서 7.8%로 수정했다. 헝다그룹 위기와 전력난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호주 연방은행 아시아 수석 이코노미스트 케빈 시에는 “중국의 전력난은 주요 수출품의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며 “이는 선진국들의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