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 동안 보험사기에 적발된 금액이 3조3078억원을 기록했지만 환수한 금액은 1246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픽=머니S 김은옥 기자
최근 4년 동안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3조3078원. 국내에 진출한 ABL생명과 푸르덴셜생명, 라이나생명 등 외국계 보험사들의 1년치 매출액에 해당하는 막대한 금액이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보험사기를 잡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보험사기로 인한 피해는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보험사기 적발 및 환수액 현황’ 자료를 보면 2017년부터 작년까지 4년간 적발된 보험사기 인원은 35만4078명, 적발 금액은 3조3078억원으로 집계됐다. 보험사기로 적발된 인원은 증가 추세다. 2019년 9만2538명, 2020년 9만8826명으로 늘어나 10만명에 가까워졌다.
보험사기 적발 금액도 2017년 7302억원에서 지난해 8986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보험사기 적발 규모는 4만7417명, 4526억원으로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지난 4년 동안 보험사기로 적발된 인원의 90%는 자동차보험 등 손해보험 보험금을 노렸다. 적발 금액 기준으로도 손해보험 비중이 91%에 달했다.
보험사기 유형은 자동차 사고(21만1815명·1조3951억원)가 가장 많았다. 허위 진단이나 과잉 진료 등 '허위·과다 사고(11만9373명·1조3589억원), 자살과 방화 등 고의 사고(3781명·2937억원)가 뒤를 이었다.
허위·과다사고 가운데 '허위(과다) 진단·장해판정'은 2017년 3220명(587억원)에서 지난해 8526명(1065억원)으로 급증했다. 자동차 사고 중 고의충돌도 5482명(301억원)에서 9100명(523억원)으로 늘어났다.
최근에는 보험상품과 보상에 관해 지식이 많은 보험설계사, 브로커, 병원이 가담해 허위 장해 진단을 남발하거나 자동차정비업소가 공모해 정비 비용을 허위 청구하는 수법으로 장기간 거액의 보험금을 편취하는 조직적 사기 행태도 잇따라 적발됐다고 윤 의원은 전했다.
보험사기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보험사기 적발 후 환수금액은 4년간 1264억원으로 적발액의 3.8%에 그쳤다. 지난 4년간 연간 환수금액은 264억∼370억원에 머물렀다. 윤 의원은 “보험사기 증가는 보험료 인상 요인이 돼 전체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으로 이어진다”며 “보험사기 근절을 위한 보험사기방지특별법 개정 등 관련 제도의 정비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